2020년 4월 30일 목요일

성사랑사회 과제물(2015,4-2)

성사랑사회 과제물(2015,4-2)
성사랑사회 과제물(2015,4-2).hwp


본문
교과목명 : 성 사랑 사회 과제물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과제유형 : ( E ) 형
○ 과 제 명 :
일반적인 역사서술에서 잘 다뤄지지 않거나 사회의 주류에서 벗어난 사회 집단을 골라 그들의 삶 속에서 성차별과 다른 사회적 격차가 어떻게 서로 관련되어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분석하고 서술하시오
Ⅰ. 서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수요집회'가 벌써 20년 동 안 1000회째를 맞는다. 수요집회는 1992년 1월8일 첫 집회가 열린 이후 지난 20년동안 매주 수요일마다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리고 있다. 수요집회를 주최하고 있는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1차 수요집회 때부터 줄곧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피해 배상을 요구하고 있다. 수요집회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아픔을 전 세계에 알리는데 큰 기여를 했다. 정작 일본 정부는 무대응으로 일관하며 위안부 피해자들의 고통을 외면하고 있다. 아직도 위안부 피해자들은 정신적,육체적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 이 문제는 과거 역사 속의 문제가 아닌 현재 우리 눈 앞에 있는 문제이다.
Ⅱ. 본론
1.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고찰
가. '일본군 위안부'란
한국에서 일본군위안부는 오랫동안 정신대(� ��身隊)라는 이름으로 불려왔으나 이는 정확한 표현이 아니다. 정신대는 전시체제 아래서 일본 제국주의의 전투력 강화를 위해 특별히 노동력을 제공하는 조직 등을 지칭한 일반명사였다. 그러나 태평양 전쟁이 막바지로 접어드는 1943년 이후엔 여자정신대 혹은 여자근로정신대에 한정해서 쓰이는 경향이 나타나다가 마침내 1944년 8월에 이르러 여자정신대근로령이 내려지게 된다. 이후부터 정신대란 말은 전쟁 노동력으로 동원된 여자에 한해서 쓰이게 된다. '여자근로정신대'의 일부가 일본군위안부로 끌려가기도 하였으나 두 제도를 동일한 것으로 볼 수는 없다. 그러나일제에의해동원된여성들은일단위안부이든아니든 이미 '버린 여성'으로 인식됨으로써 위안부와 정신대에 엄밀한 차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래서 일본군위안부가 된 여성들 을 가리켜 정신대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이와 더불어 혼용되어 쓰이는 용어가 종군위안부(從軍慰安婦)이다. 종군위안부의 종군(從軍)이라는 한자 표현은 '군사를 쫓는다. 즉 (자발적으로) 따라갔다'는 의미로 강제로 성노예 생활을 해야했던 일본군 위안부의 실상을 감추려고 일본이 자신들의 입장에서 만들어낸 용어이다. 현재 공식적인 용어로는 한국, 중국 등 한자 문화권에서는 '일본군위안부', UN 등 국제기구를 포함한 영어권에서는 '일본에 의한 성노예'(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가 쓰이고 있다.
나. 끌려간 방법
1) 취업사기 : 좋은 곳에 취직시켜 주겠다는 약속을 받고 따라나섰다가 군위안소로 가게 된 피해자들이 증언하는 '좋은 곳'의 종류는 다양했다. 가장 많이 등장하는 곳은 일본의 공장이었다. 그리고 좀 더 사실� � 가까운 것으로 병원에 있는 부상병을 위해 일을 하는 것, 종군 간호부의 일하는 것 등의 취업약속이 피해자들의 마음을 끌었다. 이러한 취업사기는 연행방식 중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법이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국내문헌
우에노 지즈코(이선이 옮김),『위안부를 둘러싼 기억의 정치학』, 서울 : 현실문화, 2014
현대송,『한국과 일본의 역사인식』, 경기 : 나남, 2008
정경아,『위안부 리포트』, 서울 : 도서출판 길찾기, 2006
김흥식,김성희,『1면으로 보는 한국 근현대사』, 경기 : 서해문집, 2009
이석태,김재영외『일본군 위안부 문제』, 민족문제연구소, 2009
박유하,『제국의 위안부』, 서울 : 뿌리와 이파리, 2013

하고 싶은 말
방송대 청소년교육과 성 사랑 사회 과제물 입니다
당시 거의 만점 가까운 � �적을 받았던 자료이니
참고하시면 좋은 성적 나올것으로 기대합니다

키워드
성 사랑 사회, 청소년교육과, 중간과제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