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5월 25일 월요일

제 10장 심리검사와 지능 최종

제 10장 심리검사와 지능 최종
제 10장 심리검사와 지능 최종.hwp


본문
1. 심리평가란 무엇인가?

심리평가란, 개인의 심리적, 행동적, 성격적 특성 및 정신병리를 이해하기 위해 시행되는 행동평가, 임상적 면담, 질문지, 심리검사 등을 아우르는 총체적이고 전문적인 평가과정

심리평가를 통해 다양한 심리적 문제 진단, 이해, 치료 계획 세우는데 필요한 정보 획득 가능
그중 심리검사는 개인의 행동에 대한 객관적이면서도 표준화된 수치를 제공하는 평가도구
표준화된 심리검� ��는 개인에서 얻은 측정치를 연령, 성별에 맞춘 검사 규준과 비교하여 현재의 기능 수준 및 상태를 파악하고, 행동 양상을 예측한다는 점에서 고유 가치 있음

1) 행동평가
어떤 행동과 관련된 선행사건, 사건에 대한 반응, 결과 등을 분석. 개인이 실생활 장면에서 보이는 행동을 그 순간에 직접 관찰하고 평가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 (현실적으로 어려움) 주로 심리평가 진행에서 보이는 피검자의 표정, 몸짓, 언어 표현, 질문이나 과제에 대한 반응 등을 통해서 피검자가 실생활에서 보이는 행동 특성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단서를 얻음. 특히, 피검자가 말하는 내용과 맞지 않는 얼굴 표정, 몸짓, 언어 표현에 관심을 기울임. ex) 불안하지 않다고 말하면서 손을 만지작거리거나 시선을 회피

2) 임상적 면담
구조화된 정도� �� 실시 절차에 따라 구조화된 면담, 비구조화된 면담,
진단평가와 면담, 결과 해석 면담, 치료적 면담 등 목적과 종류 다양
심리평가에서 요구되는 면담은 개인이 현재 호소하는 문제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함

포함 내용
①기본 정보 - 연령, 성별, 학력, 직업, 주소, 결혼 상태 및 가족 관계, 경제적 수준
②의뢰 이유, 과정 - 스스로 왔는지, 다른 사람이 의뢰했는지, 의뢰한 이유가 뭔지
③심리적 문제 파악 - 주 호소 문제를 바탕으로 증상, 심리적 문제 목록 작성, 언제 어떻게, 빈도, 강도
④피검자의 발달력과 가족관계 - 아동 청소년일 경우 조산, 정상분만 여부, 출생시 체중, 낯가림, 걷기, 말하기 등 발달 지연 여부, 경기나 뇌기능 장애 병력, 분리불안, 또래관계, 학교 적응 등

키워드
지능, 최종, 심리검사, 검사, 심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