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5월 2일 토요일

장사약해 2권 조중황토, 신강, 왕불류행, 계지 양육 황주 고주 천궁 목단피 도인 토과근 한문 및 한글번역

장사약해 2권 조중황토, 신강, 왕불류행, 계지 양육 황주 고주 천궁 목단피 도인 토과근 한문 및 한글번역
장사약해 2권 조중황토, 신강, 왕불류행, 계지 양육 황주 고주 천궁 목단피 도인 토과근.hwp


목차
조중황토, 신강, 왕불류행, 계지 양육 황주 고주 천궁 목단피 도인 토과근

본문
味苦, (《素問》:羊肉, 杏, 薤皆苦。)氣膻, 入足太陰脾, 足厥陰肝經。
양육은 고미로 (소문에 양고기, 살구, 염고는 모두 고미라고 했다.) 누린내가 나고 족태음비경, 족궐음간경에 들어간다.
溫肝脾而扶陽, 止疼� �而緩急。
양육은 간과 비를 온난하게 하며 양을 북돋고 진통하고 급함을 완만하게 한다.
《金匱》當歸生薑羊肉湯, (方在當歸。)用之治寒疝腹痛者.
금궤요략 당귀생강양육탕(처방은 당귀에 있다) 사용해 한산 복통을 치료한다.
以水寒木枯, 溫氣頹敗, 陰邪凝結, 則爲瘕疝, 枯木鬱衝, 則爲腹痛.
*颓败 tuíbài 1. 쇠미해지다2. 부패하다3. 풍속이 나빠지다
수가 차며 목이 건조해 온기가 패퇴하고 음사가 응결해 가산이 되며 마른 나무기가 울체 상충해 복통이 된다.
羊肉暖補肝脾之溫氣, 以消凝鬱也。
양육은 따뜻하게 간과 비의 온기를 보하고 얼고 울체함을 소멸시킨다.
治脅痛裏急者, 以厥陰之經, 自少腹而走兩脅, 肝脾陽虛, 乙木不達, 鬱迫而生痛急, 羊肉溫補肝脾之陽氣, 以緩迫切也。
옆구리 통증, 속이 급함을 치료하니 간궐음의 경락은 소복에서 양쪽 옆구리로 달리고 간과 비의 양이 허하며 을목이 도달을 못해 울체 핍박당해 통증과 급함이 생겨 양육은 간과 비의 양기를 따뜻하게 보해 절박함을 느슨하게 해준다.
治產後腹中疼痛者, 產後血亡, 溫氣脫泄, 乙木枯槁, 鬱剋己土, 故腹中疼痛, 羊肉補厥陰之溫氣, 以達枯木也。
산후복통, 산후 혈이 망함, 온기가 탈설, 을목이 마름으로 기토를 울체해 상극함을 치료하니 복통에 양육은 궐음의 온기를 보하고 마른 목기를 도달하게 한다.
治虛勞不足者, 以虛勞不足, 無不由脾肝之陽虛, 羊肉補肝脾之陽氣, 以助生機也。
양육은 허로 부족함을 치료하니 허로부족은 모두 비와 간의 양허 때문으로 양육은 간과 비의 양기를 보하여 생기를 보조한다.
羊肉淳濃溫厚, 暖肝脾而助生 長, 緩迫急而止疼痛, 大補溫氣之劑也。
양육은 순전히 짙고 온난하고 두터워 간과 비를 따뜻하게 하여 생장을 보조하고 급박을 완만하게 하여 통증을 멎게 하며 크게 온기를 보하는 약제이다.
其諸主治, 止帶下, 斷崩中, 療反胃, 治腸滑, 暖脾胃, 起勞傷, 消脚氣, 生乳汁, 補產後諸虛。
여러 주치는 대하를 멎게 하며 붕루를 끊고 반위를 치료하고 장의 활설을 치료하고 비위를 온난하게 하며 노상을 일으키고 각기를 소멸하고 유즙을 생성하고 산후 여러 허증을 보한다.


참고문헌
황원어 십종의서 하, 장사약해, 청나라 황원어, 중국 인민위생출판, 페이지 397-406

www.imagediet.co.kr
www.steemit.com/@imagediet

하고 싶은 말
장사약해 2권 조중황토, 신강, 왕불류행, 계지 양육 황주 고주 천궁 목단피 도인 토과근.hwp 한문 및 한글번역 16페이지
《四庫全書總目提要ㆍ醫家類》 欽定四庫全書總目 卷一百五 > 子部十五 > 醫家類存目 > 《長沙藥解》四卷
청조 황원어(黃元御, 1705∼1758) 찬. 장기(張機, 150?∼219?)의 《상한론(傷寒論)》에는 총 113가지의 처방이 있고, 《금궤옥함경(金匱玉函經)》에는 총 175가지의 처방이 있어, 두 책에서 사용한 약물을 합하면 총 160종이다. 황원어는 이 두 책에 수록된 처방을 각각 해체하여 재편했는데, 약의 이름과 약성(藥性)을 강(綱)으로 삼고, 어떤 처방에는 이런 약을 사용한다는 설명을 목(目)으로 삼았다. 각각 병의 원인을 미루어 짐작하여 주요한 치료법을 증명하려는 의도인데, 꽤나 상세하다. 그러나 약에는 약 자체의 성질과 맛이 있으니, 이것은 바뀌지 않는 것이다. 약을 쓸 때도 약을 쓰는 규칙이 있으니, 이것은 확� ��되지 않은 부분이다. 그러므로 약을 쓸 때 서로 보완하는 성질의 약초들을 배합해 쓰는 경우가 있고, 서로 억제하는 성질의 약초들을 배합해 쓰는 경우가 있으며, 상반되거나 충돌하는 성질의 약초들을 섞어 사용하는 예도 있다. 여기에서는 당연히 처방을 논의해야 하며, 약의 성질을 논해서는 안 된다. 그런데 어떤 처방에 이런 약이 있으니 어떤 증상이 생겼을 때 이 약을 사용한다고 하고, 또 어떤 처방에 이런 약이 있으니 또 어떤 증상이 생겼을 때 이 약을 사용한다고만 말한다면, 이것은 오히려 통발이나 올가미 안에 담긴 물고기와 토끼만 찾는 것과 같다.

키워드
장사약해, 왕불� ��행, 계지, 양육, 황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