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Ⅰ. 사회과학의 목표 Ⅱ. 사회과학의 배경 Ⅲ. 사회과학의 식민성 Ⅳ. 사회과학의 개방 Ⅴ. 사회과학의 쟁점 1. 신자유주의에 대한 해석 2. 동아시아 모델의 '실패' 3. 세계화와 민족주의의 청산 4. 계급에서 NGO 혹은 소수자로 5. '근대'에 대한 반성 Ⅵ. 사회과학과 4차원의 시공간론 Ⅶ. 사회과학의 전망 참고문헌 본문 Ⅰ. 사회과학의 목표 사회 과학은 사회현상에 대한 서술(Description)이다. 사회현실을 중시하며 변화를 현상대로 기술하고 설명(Explanation)을 통하여 학문적인 이론을 구성하고 미래(Prescription)를 예측하는 과정이 학문하는 과정이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식체계(Body of knowledge) 및 이론(theory)을 형성하게 된다. 사회과학은 변화를 방임적인 측면에 두는 것이 아니라 사회변화를 주도해나가는 긍정적인 학문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이 다른 점은 인간에게 긍정적인 방향을 중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Ⅱ. 사회과학의 배경 사회과학 연구 작업이 세상을 구하는 역할을 하기는커녕 세상을 혼란시키고, 세상에게 짐만 안겨주는 경우가 많다. 어쩌면 90년대의 한국의 사회과학도 그러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그런데 연구 작업이 이렇게 된 데는 어려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우선은 사회과학자들이 세상을 구하는 일보다는 새로운 이론이나 주장을 내세워서 세인의 주목을 끌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강신택(1995), 사회과학연구의 논리, 서울 : 박영사 김성이․김상균(1994), 사회과학과 사회복지, 나남출판 박현채 선생 추모 특집호(1995), 분단 50년, 진보적 사회과학의 반성과 과제, 동향과 전망 부정남(1988), 사회과학개론, 나남출판사 신현준(1998), 사회과학의 위기, 지식인 리포트, 민음사 한국방송통신대학 출판부 교양교재, 사회과학방법론 하고 싶은 말 열심히 작성하고 좋은 평을 받은 리포트 입니다. 감사합니다. 키워드 사회과학, 사회, 과학, 연구, 목표 |
2016년 10월 27일 목요일
사회과학에 대해서
사회과학에 대해서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