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약해 1권 보리 오수유 촉초 건강 생강 반하 대자석 후박 지실 치자.hwp |
목차 보리 오수유 촉초 건강 생강 반하 대자석 후박 지실 치자 본문 味辛, 氣平, 入手太陰肺, 足陽明胃經。 반하는 신미, 평기로 수태음폐경, 족양명위경에 들어간다. 下衝逆而除咳嗽, 降濁陰而止嘔吐, 排決水飲, 清滌涎沫, 開胸膈脹塞, 消咽喉腫痛, 平頭上之眩暈, 瀉心下之痞滿, 善調反胃, 妙安驚悸。 반하는 충역을 내려가게 하며 기침을 제거 하고 탁음을 하강하고 구토를 멎게 하며 수음을 터주며 침을 맑게 세척하며 흉격의 창만 막힘을 열어주고 인후종통을 소멸하고 머리의 현훈을 평정하고 심하의 속 답답함을 쏙아주고 잘 반위를 조절하고 오묘하게 놀란 동계를 편안하게 한다. 《傷寒》半夏瀉心湯, (半夏半升, 人參, 甘草, 乾薑, 黃芩, 黃連各三兩, 大棗十二枚。) 상한 반하사심탕 반하 반되, 인삼, 감초, 건강, 황금, 황련 각 120g, 대추 12매이다. 治少陽傷寒, 下後心下痞滿而不痛者。 반하사심탕은 소양병 상한병으로 사하한 뒤에 심하가 답답하고 그득하지만 아프지 않음을 치료한다. 以中氣虛寒, 胃土上逆, 迫於甲木, 經氣結澀, 是以作痞。 중기가 허한하고 위토가 위로 상역해 갑목을 핍박하고 경기가 결체해 깔깔하여 속 답답함이 생겼다. 少陽之經 , 循胃口而下脅肋, 隨陽明而下行, 胃逆則膽無降路, 故與胃氣並鬱於心脅. 소양경락은 위구를 따라 옆구리 갈비로 내려와 양명을 따라 하행하고 위가 상역해 담이 내려갈 길이 없으므로 위기가 심과 옆구리에 울체한다. 甲木化氣於相火, 君相同氣, 胃逆而君相皆騰, 則生上熱。 갑목은 상화에 화기되어 군화와 상화가 같은 기로 위가 상역하면 군화와 상화가 모두 오르니 상열이 생긴다. 參, 甘, 薑, 棗, 溫補中脘之虛寒, 黃芩, 黃連, 清瀉上焦之鬱熱, 半夏降胃氣而消痞滿也。 인삼, 감초, 건강, 대추는 중완의 허한을 온보하고, 황금, 황련은 상초의 울열을 맑게 사하며 반하는 위기를 내리고 속답답함을 소멸한다. 《金匱》治嘔而腸鳴, 心下痞者。 금궤요략은 반하사심탕이 구토로 장명하고 심하가 답답함을 치료한다� �� 했다. 中氣虛寒則腸鳴, 胃氣上逆則嘔吐也。 중기가 허한하면 장명이며 위기가 상역하면 구토이다. 《金匱》大半夏湯, (半夏二升, 人參三兩, 白蜜一斤。水一斗二升, 和蜜揚之二百四十遍, 煮, 分三服。) 금궤요략의 대반하탕은 반하 2되, 인삼 80g, 백색꿀 600g, 물 1말2되를 꿀로 젓길 240번을 하고 3번 나눠 복용한다. 治胃反嘔吐者。以脾陽虛敗, 水穀不消, 而土木鬱陷, 下竅堵塞, 是以不爲泄利, 而爲嘔吐。 위가 반대로 구토함은 비양이 허하고 패해서 수곡이 소멸하지 않아 토목이 울체하고 함몰하며 아랫구멍이 막힘이니 그래서 설사 하리하지 않고 구토가 된다. 胃以下行爲順, 反而逆行, 故名胃反。 위는 하행이 순증이며 반대로 역행하므로 위반이라고 이름한다. 참고문헌 황원어 십종의서 하, 장사약 해, 청나라 황원어, 중국 인민위생출판, 페이지 360-373 www.imagediet.co.kr www.steemit.com/@imagediet 하고 싶은 말 장사약해 1권 보리 오수유 촉초 건강 생강 반하 대자석 후박 지실 치자.hwp 한문 및 한글번역 22페이지 《四庫全書總目提要ㆍ醫家類》 欽定四庫全書總目 卷一百五 > 子部十五 > 醫家類存目 > 《長沙藥解》四卷 청조 황원어(黃元御, 1705∼1758) 찬. 장기(張機, 150?∼219?)의 《상한론(傷寒論)》에는 총 113가지의 처방이 있고, 《금궤옥함경(金匱玉函經)》에는 총 175가지의 처방이 있어, 두 책에서 사용한 약물을 합하면 총 160종이다. 황원어는 이 두 책에 수록된 처방을 각각 해체하여 재편했는데, 약의 이름과 약성(藥性)을 강(綱)으로 삼고, 어떤 처방에는 이런 약을 사용한다는 설명을 목(目)으로 삼았다. 각각 병의 원인을 미루어 짐작하여 주요한 치료법을 증명하려는 의도인데, 꽤나 상세하다. 그러나 약에는 약 자체의 성질과 맛이 있으니, 이것은 바뀌지 않는 것이다. 약을 쓸 때도 약을 쓰는 규칙이 있으니, 이것은 확정되지 않은 부분이다. 그러므로 약을 쓸 때 서로 보완하는 성질의 약초들을 배합해 쓰는 경우가 있고, 서로 억제하는 성질의 약초들을 배합해 쓰는 경우가 있으며, 상반되거나 충돌하는 성질의 약초들을 섞어 사용하는 예도 있다. 여기에서는 당연히 처방을 논의해야 하며, 약의 성질을 논해서는 안 된다. 그런데 어떤 처방에 이런 약이 있으니 어떤 증상이 생겼을 때 이 약을 사용한다고 하고, 또 어떤 처방에 이런 약이 있으니 또 어떤 증상이 생겼을 때 이 약을 사용한다고만 말한다면, 이것은 오히려 통발이나 올가미 안에 담긴 물고기와 토끼만 찾는 � ��과 같다. 키워드 장사약해, 보리, 오수유, 촉초, 건강 |
2020년 5월 2일 토요일
장사약해 1권 보리 오수유 촉초 건강생강 반하 대자석 후박 지실 치자
장사약해 1권 보리 오수유 촉초 건강생강 반하 대자석 후박 지실 치자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