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관계] 아랍스프링 이후 아랍과 이스라엘의 관계.hwp |
목차 Arab Spring 원인 국가별 Arab Spring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역사 ■ 팔레스타인지역 이슬람교도의 정착과 유대인의 시오니즘 운동 ■ 벨푸어선언과 아랍-유대인의 갈등 ■ 분쟁 해결을 위한 노력 ■ 중동평화협상과 갈등의 역사 중동전쟁 ■ 제1차 중동전쟁(팔레스타인전쟁, 독립전쟁) 1948년 ■ 제2차 중동전쟁(수에즈전쟁, 시나이전쟁) 1956년 ■ 제3차 중동전쟁(6일전쟁) 1967년 ■ 제4차 중동전쟁(라마단 전쟁, 욤 키푸르 전쟁) 1973년 제 5차 중동전쟁 제 6차 중동전쟁 이스라엘과 중동국가의 관계 1.요르단 2.시리아 3.레바논 4. 이라크 5.이집트 Arab Spring이후 국제 관계 결론(앞으로의 전망) 본문 레바논: 레바논에서는 수백명의 시위대가 베이루트에서 행진을 시작하면서 시위가 시작됐으며 2월 27일 시작된 행진을 두고 라이시테 행진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라이시테는 정교분리 원칙과 흡사한 개념을 지닌 레바논의 정치 제도로서 이를 개혁하라는 목소리가 높다. 동시에 시돈에서는 평화로운 시위가 일어나기도 했다. 3월 13일, 3월 14일 연맹 지지 세력 수만이 행진하면서 베이루트의 헤즈볼라 무장 해제를 요구하고 나섰으며 정치적인 목적으로 헤즈볼라의 이익을 행사하지 말라는 뜻을 외치기 시작했다. 또한 시위대는 레바논 특별 재판소에 대한 지지의 뜻도 밝혔으며 이에 대적하는 헤즈볼라의 3월 8일 연맹은 특별 재판소에 대한 협조를 거부하려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결국 6월 13일 신정부가 발표돼 출범하게 되었다. 요르단: 2011년 1월 14일 수도 암만과 만, 알 카락, 소트, 이르비드 등에서 시위가 시작됐다. 노동조합원과 좌파 지지자들이 참여한 시위는 금요 예배 이후에 시작되었으며 총리 사미르 리파이의 사임을 요구했다. 또한 이슬람형제단과 14개의 노동조합은 의회 앞에서 15일에도 앉은 채로 시위를 진행하겠다며 정부의 경제 정책을 규탄한다고 선언했다. 시위에 이어 정부는 유가 상승폭을 줄이기 위한 대응책을 내놓았지만 1월 21일 암만에서만 5천 명이 시위에 참가했으며 경제 회복을 풀어보려는 미봉책도 어려움에 직면한다. 2월 1일, 요르단 왕실이 기자회견을 열자 국왕 압둘라는 가두 시위를 빌미로 내각을 해산했으며 전 육군 참모총장인 마루프 알 바키트가 새 내각을 구성할 것을 요청했다. 국왕은 바키트에게 신속하고, 구체적이며 실증적인 방법으로 정치 개혁을 시작하라 는 명령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으며 또한 요르단의 민주주의를 강화하며 국민들이 누릴 수 있는 존엄한 삶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당 방안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조치는 시위 활동을 멈추지 못했으며 2월 25일에만 6천 명~1만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참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위대 집행부는 학생들이 지휘하고 있으며 정치 개혁을 요구하며 3월 24일 암만의 중심거리, 가말 압델 나세르 광장에 캠프를 열었으나 다음 날 친정부 세력이 시위대와 충돌하면서 최소 1명이 숨지고 100명이 넘는 키워드 국제관계, 아랍스프링, 관계, 아랍, 스프링 |
2017년 9월 21일 목요일
국제관계 아랍스프링 이후 아랍과 이스라엘의 관계
국제관계 아랍스프링 이후 아랍과 이스라엘의 관계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