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영리조직경영론1_공통.hwp |
목차 I. 서 론 II. 본 론 1. 펀딩매개기관-공동모금회 1) 공동모금회의 탄생 2) 시스템적, 법률적, 경영관리적 측면에서 비교 평가 (1) 목적적관점 (2) 구조적관점 (3) 기능적관점 3) 공동모금회의 발전방안 (1) 중앙과 지회 간의 역할 명확화 (2) 전문인력의 보강 (3) 이사회와 위원회의 적절한 기능 수행 유도 (4) 지역적 특성을 가미한 모금 프로그램의 특성화 (5) 배분과정의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 2. 펀딩매개기관-사회복지협의회 1) 사회복지협의회의 탄생 2) 시스템적, 법률적, 경영관리적 측면에서 비교 평가 (1) 목적적관점 (2) 구조적관점 (3) 기능적관점 3) 사회복지협의회의 발전방안 III. 결 론 참고문헌 본문 I. 서 론 우여곡절끝에 1998년 탄생한 공동모금회 조직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매우 높다. 한편 1999년에 통과한 공동모금회법, 즉 대체 입법의 출현과 함께 앞으로의 변화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혼재 되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법에 의해 지원되는 민간 사회복지 재원의 모금과 배분이라는 흥미 있고 민감한 주제, 구체적으로는 사회복지 공동모금법의 운영과 관련하여 참으로 다양한 단체들이 각기 다양한 시각들과 관심들 속에서 지지와 비판과 우려의 목소리를 나타내기 시작하고 있는 것 같다. 이제 막 활동에 들어선 공동모금회 조직의 운영을 놓고 그리고 이제 막 통과하여 효력을 갖기 시작하는 새로운 대체 법을 놓고 무대안적으로 비판만을 하는 것은 무책임하고 비생산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공동모금회의 가능성을 놓고 어떻게 하면 보다 발전적으로 이 공동모금회의 활동을 개발시킬 것인가 그리고 그러한 공동모금회의 활동을 통해서 한국의 민간 사회복지를 한 차원 더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인가를 연구하는 것이라고 본다. 1998년 이후 지방자치 실시는 새로운 한국 사회에 민주화의 실현에 한 걸음 나아가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사회복지 영역에 있어서도 기존의 중앙정부 차원에서 지방정부 차원으로 그 행정적 역할과 기능 수행이 과감히 이행되고 있다. 기존의 한국사회복지협의회를 비롯하여 시․도 협의회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기본 단위인 시․군․구 협의회를 설립하여 지역복지공동체 형성에 매진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지역복지라는 용어는 사회복지협의회의 활동방법으로서 사용되어 온 '지역사회조직화론' 속의 하나로 이해되었다. 이러한 생각들은 1984년 전국사회복지협의회에 의해 작성된 '지역복지계획 - 이론과 방법'이다. 지역복지는 시정촌이라고 하는 지역에서의 문제를 사회복지협의회가 지역복지계획을 세워 해결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점차 확대 되어갔고, 현재 일본은 행정에서 세우는 '지역복지'와 사회복지협의회가 작성하는 지역복지활동으로 구분되어 상호협조하며 지역복지가 시행되고 있다. 이 장에서는 우리나라 펀딩매개기관 중 두 개의 조직을 선정하여 시스템적, 법률적, 경영관리적 측면에서 비교 평가하기로 하자. 참고문헌 심재영, 비영리조직경영론, KNOU Press, 2016, p.191. 신혜성, 최동철, 권애라, 권예원, 고용기, 김묵한, 김재연, 나윤, 크라우드펀딩 : 세상을 바꾸는 작은 돈의 힘, 2014, p.17. 맥쿼리인프라, www.macquarie.com/kr/kr/mkif/index.html 오퍼튠, https://www.opportune.co.kr/ 하고 싶은 말 경영학과 4학년 비영리조직경영론 공통 동종 사업을 하고 있고, 규모가 비슷한 비영리조직 두 개를 선정하여 목적, 구조, 기능적 관점에서 비교 평가하시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키워드 비영리조직경영론, 동종사업, 비영리조직, 비영리조직의목적, 방송통신대 |
2017년 9월 17일 일요일
(방통대 2017-2)동종 사업을 하고 있고, 규모가 비슷한 비영리조직 두 개를 선정하여 목적, 구조, 기능적 관점에서 비교평가하시오.
(방통대 2017-2)동종 사업을 하고 있고, 규모가 비슷한 비영리조직 두 개를 선정하여 목적, 구조, 기능적 관점에서 비교평가하시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