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7월 28일 화요일

스웨덴 모델 문제의 상황 - 스웨덴 경제의 불황과 호황

스웨덴 모델 문제의 상황 - 스웨덴 경제의 불황과 호황
[스웨덴 모델] 문제의 상황 - 스웨덴 경제의 불황과 호황.hwp


본문
스웨덴 모델 문제의 상황 - 스웨덴 경제의 불황과 호황
불황의 1990년대를 맞이하여 재정위기와 복지비 지출 과잉의 위험을 무릅쓰고 스웨덴에서는 복지국가의 체제유지를 위해 노력해 오고 있다.
그러면 어떠한 정책을 써서 그 동안 봉착했던 심각한 위기를 극복하고 불황에서 탈출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것일까? 그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서 호황의 1960년대부터 불황의 1990년대에 이르기까지 부침(浮沈)을 거듭해온 스웨덴의 경제상황을 비롯해서 전반적 스웨덴 모델을 검토해 보기로 한다.
객관적으로 말해서 2차 대전 후에 1960년대는 전쟁으로 초토가 된 유럼 주요 국가들의 전후복구를 위한 물자공급을 위해 스웨덴 경제는 미증유의 황금기를 체험했으며, 1970년대의 초반은 풍요한 경제적 번영을 누리고 소비 미덕의 풍조가 국민 간에 만연하여 지상낙원을 구가하던 시기였다. 그리고 1970년대 후반은 풍요 속에 불황의 그림자가 교차하는 가운데서도 부유한 복지국가의 자랑과 국민의 낭비벽이 도처에 뿌리 깊게 잔존하던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그 후 1980년대는 불확실한 전망 속에서 1980년 4월엔 이 평온한 복지국가의 탄생 후 최대 규모의 노사분규가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각 분야의 활동이 장기간 마비되었다. 이것� � 효시로 불안의 1980년대를 맞이한 스웨덴에서는 재정지출의 계속적인 팽창으로 경기는 한산한데도 불구하고 반대로 인플레이션(inflation)은 가속화되는 스태그 플래이션의 현상이 만성화하게 되었고, 통화의 평가절하 조치를 수차 단행해서 수출신장을 기도하였으나 해외시장에서 스웨덴상품의 시장점유율(market share)이 확대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리어 기존시장까지도 점차로 잠식을 당하는 사태가 도처에서 나타났다. 그 주요 원인은 가격정책의 졸렬, 산업구조의 경직화 및 국제시장의 변화에 대한 대응력 약화 등이었다.
그리고 방만한 공공 분야의 낭비를 억제해 보려는 여러 가지의 시도가 무위로 돌아가고 그 위에 실업률은 증가하였으며 대외 채무는 위험선까지 육박하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불황의 조류에서 벗어나기 위해 정 � � 지도자들은 고심하여 그 타개책 강구에 주력했으며 각성의 소리가 각계에서 나오고 일부 식자층에서는 스웨덴이 유빙에 얹혀서 표류하고 있다고 경종을 울리기도 했다.
전통적인 고부담 고복지정책은 국민의 주축인 활동계층의 근로의욕의 감퇴를 촉진시키고 과다한 복지재정의 지출에서 오는 재정 인플레이션의 만성화 경향 등 소위 과잉 복지의 폐단이 여러 방면에서 표면화하여 심각한 국가적 문제로 대두하게 되었다.
1960년대 이후 장기간 지속된 산업의 황금시기에 시설의 확장을 위해 활발했던 신규투자의 경향은 불황의 기미가 돌기 시작한 1970년대 후반부터 점차로 둔화하기 시작했다. 투자의 증가율을 보면 1970년의 것을 표준치로 했을 때 1976년이 131.5, 1977년이 107.1, 1978년이 95.4였다가 1982년에는 약 50% 선으로 하락하였다. 그 후 198 3년부터 점차로 호전되었다가 1990년대에 와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생산성의 향상 면에서 볼 때 해외경쟁산업 분야와 비경쟁 분야에서 1977년에 처음으로 각각 0.1, 0.8을 보였다. 그리고 국제수지는 1974년 이후 20년 간, 일시 1980년대 중반기를 제외하고 계속 역조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이 기간 중 물가상승률은 해외의 평균치보다 높았으며 실질소득은 매년 6% 가량 하락하였다. 실업수는 1981년과 1982년, 또 1991년과 1992년 사이에 수만 명이 증가되었다.
1982년과 1993년은 스웨덴경제가 2차 대전 후에 가장 심각한 위기에 처했던 해로서 공산품의 생산고는 과거 20년 동안에 최하를 기록했으며 자본 형성의 약화는 경제재건을 더욱 곤란하게 하였다. 또 급속하게 증가된 외채는 생산력 증강을 목적한 투자에 쓰지 못하고 당장의 차관 원리금 상환에 � �당해야만 되었다.
또 국내저축률은 연간 1.3%씩 하락해갔다. 이러한 와중에서도 경제계 지도자들은 우선 경직화되어 변동하는 국제경제적 환경에 대항력을 상실해 버린 산업구조를 전반적으로 재정비하는 작업을 면밀히 검토하여 실행에 옮겼다.
한 예로 수세기 동안 스웨덴의 수출 주종품이던 양질의 철광석 광산을 일부 폐광하고 지금은 그 공급중심지에 대규모의 전자공업단지를 조성하고 있으며, 세계 제2위의 조선능력시설은 지금 폐허화되었으나 부분적인 갱생조치를 하여 일부는 부가가치가 높은 자동차공장으로 전환되고 있다. 그리고 가혹한 자연환경 속에서 북구제일의 공업국으로 발전해 온 이 나라에선 기술입국의 명제는 성역이었다. 그런데 여기에 국제적으로 도전을 당하고 있는 것이 작금의 실정이다.
이런 연유로 근래 에 와서 기술혁신을 위해서 학계와 산업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의 급격한 확대가 이루어졌고 이로 말미암아 특정 산업부문의 기술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유도하고 나아가 전반적인 경제적 활력의 소생을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하고 싶은 말
중요내용의 요점을 정리한 A+ 과제물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