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8월 31일 금요일

사회 재혼가족 유형 및 실태와 정책연구

사회 재혼가족 유형 및 실태와 정책연구
[사회] 재혼가족 유형 및 실태와 정책연구.hwp


목차
Ⅰ. 서론
1. 재혼가족이란?
2. 재혼가족의 유형
3. 재혼가족의 실태

Ⅱ. 본론
1. 재혼가족의 발생원인
2. 순기능
1) 일반적 재혼가족
2) 황혼재혼
3. 역기능
4. 역기능의 해결방안
1) 우리나라의 재혼정책 현황
2) 재혼가족의 역기능 해결방안


Ⅲ. 결론
1. 정리
2. 소감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1. 재혼가족이란?


재혼가족의 정의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는 그를 뜻하는 용어의 유래를 살펴보자. 재혼가족을 나타내는 용어 'stepfamily'의 step은 앵글로색슨의 steop이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Bray & Berger, 1992). 'Steop'은 사별한(to bereave) 혹은 남겨진 고아(to make orphan)를 뜻한다. 즉, 처음 재혼 가족은 부모가 죽어 고아가 된 아이들을 칭하던 것이었다. 하지만 오늘날 재혼 가족은 부모님의 사별과는 또 다른 결혼의 끝이라는 상실까지 포괄한 의미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재혼가족의 현대적 정의를 살펴보자.

- '부부 중 한사람 혹은 두 사람 모두가 결혼의 경력이 있고, 이혼과 사별을 경험한 사람이 결혼을 통해 새롭게 형성한 가족' (김유정, 2012).
- '배우자 한쪽이나 양쪽 모두가 재혼 이상의 결혼으로 자녀가 있거나 없으면서, 하나의 가구를 유지하는 남편과 아내로 구성된 가족' (Ihinger-Tallman et al., 1987),
- '부모의 한 쪽이 친부모이며 그 친부모가 재혼하기 전 배우자 사이에서 출생한 열여덟 살 이하의 자녀가 있는 가정' (Glick, 1989)
- '최소한 한쪽의 배우자가 과거에 결혼한 경험이 있는 가족이며, 이 정의에서 최소한 한 명 이상의 자녀를 가진 가족' (Crosbie-Burnett, 1989).
- '무자녀 이혼, 사별자의 재혼 및 미혼자, 이혼자 결합의 경우까지 모두 포괄할 수 있는 개념'

위의 현대적 정의를 종합하자면 재혼가족은 '적어도 한 쪽 배우자 이상이 초혼이 아닌 성인 남녀가 새로운 배우자를 만나 가족을 이룬 형태이며 이들 중 이미 한 배우자 이상이 자녀를 두고 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가족으로 구성되어 계부모와 계자녀, 부모 자녀의 관계가 형성되어 있는 가족 형태'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가족문제론. 이 영 숙 외3 1999. 학지사
가족복지론. 이 원 숙 . 2004. 학지사
가족복지론. 조 추 용 외4. 2003. 창지사

키워드
가족, 재혼, 재혼가족, 정책연구, 사회, 정책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