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8월 27일 월요일

미생물학 생균수 측정 실험(MPN법)

미생물학 생균수 측정 실험(MPN법)
미생물학 생균수 측정 실험(MPN법).hwp


본문
생균수 측정 실험
MPN법
미생물학 실험 레포트
<실험목적>
: 대장균을 이용한 생균수의 측정법과 정의를 알아본다.
<서론>
1.생균수 측정법(viable count) : 배지를 이용하여 살아있는 미생물을 배양해서 그 개체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배지소성과 배양조건의 선택성 때문에 시료에 존재하는 일부만을 계수하게 된다. 생균수 측정법은 크게 평판계수법(plate count)과 액체배지를 이용하는 최적합수법(MPN: Most Probably Number)이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 MPN법에 대하여 알아본다.
2.MPN법(Most Probably Number)
-목적 : 시료에 있는 균수를 최적합수법에 의해 산출하기 위해서이다. 최적합수, Most Probably Number란 통계학적으로 가장 확실한 수치를 말하며 옛날부터 공식적으로 사용하고있는 확률론적 추계방법이다.
MPN법은 연속 희석한 일련의 시료를 액체배지가 든 여러 개의 시험관에 접종하고 배양하여 자라는 시험관의 수를 세어 통계학적인 방법으로 시료 속의 미생물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써 다중시험관 발효법이라고도 한다. 이 방법에서는 최소한 시료를 3단계까지 연속 희석하는데, 10㎖, 1.0㎖, 0.1㎖, 0.01㎖ 과 같이 순차적으로 10배마다 희석해 각 5개씩 시험관을 가진다. 이렇게 복수 배양한 시험관들에게서 단순히 기포발생 여부에 따라 양성반응과 음성반응만을 확인한다. 5개중 적어도 1개는 음성반응이 나오도록 시료를 희석하는 것이 필요하고 미생물이 자란 양성반응 시험관들을 희석배율 단계별로 세어 MPN표로 찾아 희석배수를 환산한 후 미생물의 밀도를 MPN/100㎖ 로 나타낸다.
MPN법에서 중요한 것은 양성/음성반응을 구분하는 것으로 배지의 탁도, 색깔 변화, 기포의 발생 여부 등을 기분으로 삼는다. MPN법으 이점은 액체배지를 사용하므로 유기물 오염을 야기할 수 있는 한천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3.대장균의 정성실험(MPN 실험)
3.1정량시험(MPN법) : 정성시험에서 얻은 대장균군의 단위 용적당 수치를 말한다.
3.2정성시험(Qualitative test) : 시료에서 대장균군의 유무를 확인하는 실험으로 3단계이다.
1)추정실험(Presumptive test)
: 대장균이 유당을 발효시켜 산과 기체를 생성하게 하여 균의 존재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LB배지를 넣은 발효관에 시험용액을 넣은 다음 35±1℃에서 48±3시간 배양했을 때 가 스의 발생이 있으면 대장균군의 존재가 추정된다. 시험에 사용되는 발효관은 Durham발 효관으로 거꾸로 넣고 고압 증기 멸균하여 식힌 후 시료를 1㎖씩 시험관에 넣은 다음 35±1℃에서 24±2시간 배양을 한다. 가스가 발생하면 추정시험을 양성으로 보고 확정시 험 단계로 넘어가고 그렇지 않으면 음성으로 판단한다.

하고 싶은 말
좀 더 업그레이드하여 자료를 보완하여,
과제물을 꼼꼼하게 정성을 들어 작성했습니다.

위 자료 요약정리 잘되어 있으니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
구입자 분의 앞날에 항상 무궁한 발전과 행복과 행운이 깃들기를 홧팅

키워드
실험, MPN법, 시료, 배지, 생균수, 시험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