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심리] 일탈의 긍정적 사례.hwp |
목차 1. 서론 2. 본론 - 예시1) 조선판 만우절 - 예시2) 총각파티 - 예시3) 버닝맨 페스티벌 - 예시4) 독일의 '제5의 계절' - 예시5) 위계질서로부터의 탈피 3. 결론 4. 출처 본문 1. 서론 Q. 터부가 파괴되는 것은 부정적인 결과만을 낳을까? A. 아니다. 터부의 파괴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우리 사회는 계층, 나이, 성별, 계급 등 수많은 문화장치를 통해 셀 수 없이 많은 터부를 만들어 놓았다. 하지만 텍스트에서 보여주는 내용에는 그것을 폐기하는 축제나 관습 등의 문화장치가 함께 등장한다다. 터부를 만들지만 그것을 폐기하는 장치는 왜 생겨난 것일까? 이것은 사회심리학적인 '집단정화론(카타르시스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인간은 속박 속에 오래 갇혀 있다 보면 숨이 막히게 되는데 이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일 년 중 어떤 일정 기간에 한해 그것을 배출하게 하여 사회 질서의 안정을 도모한다는 것이다. 이것은'사회적 기분전환 장치론'이라고도 한다. 2-1. 본론 → 터부를 침범하고 되돌아 오는 과정에 대한 개념 정의 (질서→무질서→재질서화) 》평소에 터부를 지키며 생활하는 것 = 질서 》터부를 파괴하고 침범하는 것 = 무질서 》스트레스를 분출 한 후에 다시 질서의 안정을 찾고 견고히 하는 것 = 재질서화 키워드 사회심리, 사회, 사례, 심리, 일탈 |
2018년 8월 31일 금요일
사회심리 일탈의 긍정적 사례
사회심리 일탈의 긍정적 사례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