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사론] 표본추출.hwp |
본문 사회복지조사론 표본추출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조사연구는 모집단 전체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모집단 중 일부를 뽑아내어 그 성격을 파악함으로써 모집단의 속성을 추리하게 된다. 모집단의 일부, 즉 표본을 추출하는 과정을 표본추출 또는 표집(sampling)이라 부른다. 우리나라에서 5년마다 실시하는 인구센서스 조사와 같은 전수조사를 실시하게 될 경우, 대로 엄청난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고 또한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 �다. 그리고 조사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하고 많은 오류가 개입될 수 있기 때문에 전수조사가 표본조사보다 그 결과에서 반드시 더 정확하다고 볼 수 있는 것만도 아니다. 때에 따라서는 표본조사가 더 효율적이고 신뢰도가 높을 수도 있다. 만약 전수조사에 많은 기간이 소요되어야 한다면 조사기간의 초기에서 얻어지는 자료와 마지막 시기에 얻어지는 자료는 시간의 변화에 따른 차이 때문에 크게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수조사에 필요한 기간이 약 3년 정도이며 조사내용이 사회변화에 따르는 청소년의 정서적 측면에 대한 것이라고 한다면, 우리나라와 같이 급격히 변화하는 사회분위기와 신체적 정서적 상태가 매우 불안정하고 변화무방한 청소년의 특성들이 상호작용하여 매우 다른 반응들이 기간별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이 런 조사인 경우는 단기간에 끝날 수 있는 표본조사가 훨씬 안전하다. 사회조사는 대부분의 경우 표본조사(sample survey)를 뜻한다. 표본조사에서 표본이 모집단을 잘 대표하도록 추출해 내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 국민의 생활만족도를 연구하고자 하면서 농어촌 지역을 배제하고 도시지역에서 안 표본을 추출한다면 그 결과는 전국민의 생활만족도라기보다는 도시인의 생활만족도로 이해하는 것이 보다 타당하며, 그 이상으로 확대해석하는 것은 위험하다. 어떤 표본의 우수성을 결정하는 일은 두 가지 차원에서 설명될 수 있는데, 표본의 대표성과 표본의 크기가 그것이다. 먼저 표본의 대표성 을 알아보자. 어떤 표본이 정말 모집단을 대표하는가를 확인하는 유일한 방법은 모집단의 특성을 아는 것이다. 만일 선택된 글의 맛이 정말 수레 위의 전체 글의 맛과 동일한가를 알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그 수레 위의 모든 글을 먹어보는 것이다. 그러나 사실 이것은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조사자는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그러므로 사실 조사자가 그 표본의 대표성을 알고자 하더라도 그것을 결정할 의미 있는 방법은 없다. 예를 들어, 구청의 사회복지과가 관할 지역 내의 모든 복지기관의 모든 서비스대상자의 영양 상태를 확인하고 싶다고 하자. 그러나 시간적 비용적 제약 때문에 일부 대상자를 표집 하여 정보를 수집한다. 이런 경우에는 조사자는 그 표본이 정말 대표적인가를 알기를 원한다. 그래서 이제는 역으로 조사자는 전체 모집단의 영양 상태를 알 필요가 있는데, 불행하게도 바로 그 정보는 비용이 많이 들거나 시간이 소요되므로 처음부터 수집하기 어려운 정보이다. 이제 반대로 생각하여 구청의 사회복지과가 전체 서비스대상자의 영양 상태를 알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그렇다면 앞의 표본의 대표성의 여부를 확인할 수는 있지만, 이 경우에는 연구자가 표본에 의한 조사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즉, 이미 클라이언트의 영양상태를 알고 있으므로 표본을 통해 영양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우스운 일이다. 결론적으로 좋은 표본이란 모집단을 대표하는 표본이지만, 그 표본이 실제로 모집단을 대표하는지를 확인하는 의미 있는 방법은 없다. 좋은 표본을 판단하는 두 번째 기준은 표본의 크기 다. 조사자가 연구를 수행하기에 충분히 큰 표본을 적정표본 이라고 한다. 어떤 표본의 크기가 적정한지를 결정하는 것은 통계학 지식과 관련된 복잡한 과정이지만, 다음과 같은 요인들로 결정할 수 있다(Atherton & Klemmack, 1982). 첫째, 모집단의 균질성이다. 앞의 글의 맛 예에서 여러 종류의 귤 등이 수레 위에서 잘 섞어져 있다면, 어느 글을 선택하더라도 전체 글을 대표하는 것을 집어들 가능성이 높아진다. 만약 잘 섞어져 있지 않다면 선택하는 글의 숫자가 보다 많을 필요가 있다. 서비스대상자의 영양상태조사의 예에서 조사연구자는 조사대상자가 가족지원기관들의 클라이언트에만 한정되기보다는 더 다양한 종류의 사회복지기관들의 클라이언트가 조사되기를 원할 것이다. 다시 말해 모집단의 균질성이 확보되었을 때 어떤 경우에도 대표적인 표집이 가능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조사자는 가능하면 표집수를 크게 하여야 대표적 표본을 얻을 수 있다. 하고 싶은 말 중요 내용을 간략히 요약한 과제물입니다. 키워드 조사, 표본, 모집단, 사회, 전수조사, 표본조사 |
2020년 7월 19일 일요일
사회복지조사론 표본추출
사회복지조사론 표본추출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