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신작구소설의 특징과 의의 - 채봉감별곡을 중심으로.hwp |
목차 - 목 차 - 1. 시작하는 말 2. 신작구소설의 개념 3. <채봉감별곡> 살펴보기 3-1. 줄거리와 작품의 창작배경 3-2. 내용적 측면 ① 새로운 것 ② 옛 것 3-3. 표현적 측면 4. 신작구소설의 특징과 의의 5. 끝맺는 말 본문 4. 신작구소설의 특징과 의의 위에서 살펴보았다시피, 《채봉감별곡》은 역사적 과도기에 쓰여졌기에 근대적인 요소와 봉건적인 요소가 혼재하여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모든 문제의 해결이, 주인공들의 근대적인 지향에도 불구하고, 어진 관리의 도움으로 가능해지는 중세적 한계를 볼 때(하지만 당대 현실에서는 봉건적 이상이라는 것마저도 경제적 힘을 갖출 때만 실현이 가능했다.), 《채봉감별곡》은 자본주의적 모순과 병폐를 더 크게 부각시킨 소설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어느 한쪽의 손을 들어주기 보다는 《채봉감별곡》은 자본주의의 담론이 매우 강력한 힘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시기의, 봉건적 모순과 자본주의적 모순을 동시에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 중점을 둔다. 즉, 당시 절정에 달했던 봉건적 모순과 이와 결합하여 드러나기 시작한 자본주의적 모순이라는 이중적 모순을 동시에 소설의 배경과 사건으로 잘 형상화시켜 담아낸 것에 이 작품의 의의가 있는 것이다. 《채봉감별곡》으로 미루어보아 신작구소설은 구소설적인 봉건적 모습과 새로운 사상을 좇는 근대적인 모습이 동시에 드러나는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개개의 작품에 따라 그 차이는 존재한다. 참고문헌 - 참 고 문 헌 - 『조동일 소장 국문학 연구 자료 22』, 박이정. 1999년. 권순긍(1988), 「추풍감별곡의 근대적 지향」, 『반교어문연구』. 김경순(1971), 「이조후기 소설에 관한 사회사적 고찰」,『한국어문학연구』. 김상태(1982), 「근대적 문체의 성립」, 『한국문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김창현(1997), 「추풍감별곡에 나타난 여성상과 이중적 모순」, 『성균어문연구』. 김춘택,『우리나라 고전소설사』, 한길사(1997). 박귀춘(1984), 「채봉감별곡 연구」, 동국대 석사논문. 이은숙(1987), 활자본 신작구소설에서의 애정소설 연구 , 『신작구소설연구』, 국학자료원. 정규복(1992), 『한국 고소설사의 연구』, 한국연구원.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4』, 지식산업사. 1997년 4판 황윤실(1994), 「채봉감별곡 연구」, 『한양어문』. 하고 싶은 말 신작구소설의 특징과 의의 - 채봉감별곡을 중심으로 조사 했습니다. 목차 및 미리보기 참조 해주세요.^^ 키워드 신작구소설, 신작구소설특징, 신작구소설의의, 채봉감별곡, 채봉감별곡분석, 채봉감별곡줄거리, 채봉감별곡창작배경, 채봉감별곡표현, 채봉감별곡내용, 채봉감별곡구성 |
2017년 6월 25일 일요일
신작구소설의 특징과 의의 - 채봉감별곡을 중심으로
신작구소설의 특징과 의의 - 채봉감별곡을 중심으로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