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2월 1일 목요일

복지 - 장애인 편의시설의 개선

복지 - 장애인 편의시설의 개선
복지 - 장애인 편의시설의 개선.hwp


목차
<목차>

1. 서론 : 장애인 복지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이유

2. 본론 : 장애인 편의시설의 문제점
2.1. 이동수단의 실태
2.2. 재활시설의 실태

3. 장애인 편의시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3.1. 이동수단 미비의 개선방안
3.2. 재활시설 미비의 개선방안

4. 결론 : 장애인 복지에 대한 관심 촉구



본문
2. 본론 : 장애인 편의시설의 문제점
2.1. 이동수단의 실태
며칠 전 페이스북에서 이런 글을 본 적이 있다. 2013년 4월 2일 한 시각장애인이 지하철역의 지하철과 승강장 사이의 17cm 간격에 다리가 빠져 부상을 당했다는 내용이었다. 또한 1984년에 걸을 수 없는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거리의 턱의 높이를 낮추어달라고 한 후 유서를 쓰고 자살했다는 기사도 보았다. 그 일이 있은 후 약 30년이나 지났는데 현재 아직도 길거리의 턱은 5cm로 그 때와 같은 높이이다. 비장애인인 우리에게는 17cm의 간격과 5cm의 턱은 아무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장애인에게는 크고 작은 부상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심각한 경우 생명을 위협하는 장애물이 될 수 있다. 장애인을 위한 생활시설에는 대중교통뿐만 아니라 의료시설도 포함된다. 또한 장애인 복지관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도 설문조사에서 많은 불만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장애인 편의시설이 잘 설치되어 있는 선진국의 경우를 예로 들면, 특히 세계적인 장애인 복지 수준에 도달한 호주에서는 장애인들이 불편함이 없도록 편의시설의 설치가 정말 잘 되어있다. 이에 비해 한국은 장애인을 위한 제대로 된 배려 정책이 펼쳐지지 못하고 있다. 저상 버스를 운행하는 등의 제도를 도입했고, 지금도 시내에서 저상버스를 자주 볼 수 있다. 하지만 리프트를 정비하지도 않고 작동법도 모르는 기사가 많다고 한다. 심지어 작동 과정이 귀찮아 휠체어를 타고 있는 장애인을 보고도 그냥 지나치는 버스 운전기사들도 있다.



참고문헌
1. 국내 단행본
권육상 김남식 홍석자 이경숙 김동호 조미영, 『장애인복지론』, 유풍출판사, 2009.
김도현, 『당신은 장애를 아는가』, 메이데이, 2007년.
김용득 외, 『한국 장애인 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2007.

2. 학위논문
모영배, 「장애인복지관 프로그램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년.

3. 기사문
"포항시 지체장애인 저상버스 빛좋은 개살구", <경북일보>, 2011년 4월 6일.


하고 싶은 말


키워드
장애, 편의시설, 개선, 장애인, 편의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