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2월 1일 목요일

서양사 전염병, 식생활을 바꾸다 - 유럽의 흑사병을 중심으로

서양사 전염병, 식생활을 바꾸다 - 유럽의 흑사병을 중심으로
[서양사] 전염병, 식생활을 바꾸다 - 유럽의 흑사병을 중심으로.hwp


본문
1. 서론

사람은 사람이 먹는 것 그 자체이다(Der Mensch ist was er ißt) 라는 독일 속담은 인간이 먹는 것이 곧 인간 자신을 표상한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페르낭 브로델(Fernand Braudel)은 "어떤 사람이 어떤 음식을 먹는가는 곧 그 사람의 사회적 지위, 그를 둘러싼 문명과 문화에 대해서 말해준다"고 말했다. 굳이 그의 말을 빌지 않더라도, 인류 역사상 가장 풍족한 시대라는 오늘날 비만과 과체중에 시달리는 사람들은 68억 인구 중 16억명에 달한다. 기하급수적인 인구증가가 인간의 식량생산력을 뛰어넘어 대규모의 기근과 영양실조가 찾아올 것이라는 토머스 맬서스(Thomas R. Malthus)의 걱정이 무색하게도 인류는 이미 인류증가율을 뛰어넘는 생산력을 자랑하고 있으며, 무절제한 식생활과 과도한 영양섭취로 인한 비만의 증가가 이를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식생활은 인류의 문화와 시대를 상징해왔고 이를 가장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청사진이다.



참고문헌

맛시모 몬타나리, 『유럽의 음식문화』, 주경철 옮김, 새물결, 2001,
필립 지글러, 『흑사병』, 한은영 옮김, 한길사, 2001
페르낭 브로델, 『물질문명과 자본주의Ⅰ-1:일상생활의 구조 上』, 까치, 1995
셸던 와츠, 『전염병의 역사』, 태경섭‧한창호 옮김, 모티브북, 2009
프레더릭 F. 카트라이트‧마이클 비디스 『질병의 역사』, 가람기획, 2004
레이 테너힐, 『음식의 역사』, 손경희 옮김, 우물이 있는 집, 2006,
필립 아리에스‧조르주 뒤비 책임 편집, 『사생활의 역사 2 : 중세부터 르네상스까지』, 성백용‧김지현 외 옮김, 새물결, 2006


하고 싶은 말


키워드
전염병, 흑사병, 중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