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9월 3일 목요일

영아기 언어발달 축소변형론(과잉축소), 두 단어 말의 의미론적 관계, 어순의 문제

영아기 언어발달 축소변형론(과잉축소), 두 단어 말의 의미론적 관계, 어순의 문제
[영아기 언어발달] 축소변형론(과잉축소), 두 단어 말의 의미론적 관계, 어순의 문제.hwp


본문
목차
영아기 언어발달 축소변형론(과잉축소), 두 단어 말의 의미론적 관계, 어순의 문제
1. 축소 변형론
2. 두 단어 말의 의미론적 관계
3. 어순의 문제
* 참고문헌
영아기 언어발달 축소변형론(과잉축소), 두 단어 말의 의미론적 관계, 어순의 문제
1. 축소 변형론
Bloom(1973)은 아동의 두 단어 말은 구성 성분을 삭제하는 구문 규칙에 의한 것으로 그 결과 두 단어만 남게 된다는 축소 변형론을 주창하였다. 어머니가 양말을 신고 있는 것을 관찰한 아동이 Mommy sock라고 표현한 것에 대하여 Bloom은 주어, 동사, 목적어가 갖추어진 Mommy put sock이라는 문장이 축소 변형 규칙에 의해 동사가 삭제된 문장으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이 규칙을 강조할 경우 역시 문제가 없는 것이 아니다. 문법에서 축소 변형 규칙이 사라진 이후가 되어야만 두 단어 이상의 문장 출현을 기대할 수 있다는 논리를 성립시키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로 아동의 언어발달 과정을 살펴보면 두 단어 말을 사용하는 시기에도 종종 세 단어 말이 출현할 뿐만 아니라 세 단어말의 출현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축소 변형론의 또 다른 문제점은 이것이 사라지는 규칙이라는데 있 다. 일반적으로 발달이라는 것이 잃어가는 것이라기보다는 더하여 나아가는 과정이라는 점을 감안해 본다면 축소 변형 규칙은 이러한 일반론에 위배된다.
물론 Bloom이 위와 같은 축소 변형론이 전적으로 부적절하다고만은 볼 수 없다. 축소변형규칙은 아동이 표현한 두 단어 이상의 언어적 지식을 시사해 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예를 들어 '주어-목적어 발화는 주어 -동사-목적어 문에 대한 지식을 나타낸다. 이처럼 아동은 드러난 것 이상의 성인 문법에 대한 정교한 지식을 보유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Hyams(1986)에 의하여 더욱 정교화 되었다. 그녀에 의하면 영어권 아동의 초기 발화에서 일관성 있게 생략되는 부분이 주어이다. 물론, 주어가 생략되는 현상은 이전의 다른 연구자들(Bloom, 1970; Braine, 1976; Brown, 1973: Greenfield & Smith, 1976; Gruber , 1967: McNeill, 1966: Menyuk, 1969)에 의해서도 이미 거론된 바 있으나, Hyams의 경우 그 이유를 설명하는 방식이 다르다. 이전의 연구자들이 주어의 생략현상을 아동이 이미 그 상황에 대해 모두 알고 있기 때문에 굳이 주어를 포함시킬 필요를 못 느낀다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Hyams는 이들의 설명 방식에 대하여 동의하지 않는데, 그것은 똑같이 상황과 관련되는 목적어가 생략되는 일은 드물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 대신 그녀는 영어권의 두 단어 말과 다른 언어권의 성인 문법 사이의 유사점에 주목할 것을 권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태리어나 스페인어를 포함한 많은 언어권에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성인어에서 주어가 없다. 이뿐만 아니라 영어의 주어에 해당하는 일부 대명사들(예: It is raining 또는 There seems to be a problem)역시 사용되지 않는다. 그녀는 � ��러한 무대명사어(無代名詞語, pro-drop language)에 나타나는 무대명사 문법규칙을 모든 아동이 보편적으로 적용하고 있음을 이야기하고 있다. 단지 영어권의 아동은 다른 언어권의 아동들과 달리 일정한 시기 (두 단어기)가 지나면 이러한 가정을 수정해 나간다.
2. 두 단어 말의 의미론적 관계

하고 싶은 말
핵심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한 과제물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