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론]_한국어도_식후학(學).hwp |
목차 <목차> 1. 들어가면서 2. 효과적인 한국어교육법 연구를 위한 기초 이론 1) 협력교수 - Station 교수법 2) 과제기반교수법 3. 한국어도 식후학(學) 1) 스피드퀴즈 2) 노래따라 부르기 3) 발음하기 어려운 문장 읽기 4) 단어 완성하기 5) 전통놀이하기 6) 음식 만들기 4. 마치면서 5. 참고문헌 본문 2) 과제기반교수법 과제기반교수법은 과제해결교수법이라고도 하며 요즘 한국어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교수법 중에 하나이다. '과제(task)'라는 개념이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전반부 무렵인데 숙달도 지향 교수법을 소개하며 '과제를 기반으로 해야함'을 강조한 김수아(1993)의 연구와 '한국어 듣기 수업에 있어서 과제 해결적 접급'을 논한 박미경(1994)의 연구 등에서 언급되었다. 보다 자세히 논하자면 과제기반교수법이란 학습자가 의미에 초점을 두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하는 활동 중심의 언어교육을 이야기한다. 과제기반교수에 사용되는 주요 원리로는 과제는 실세계에서 언어를 사용하는 과정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점과 의미에 일차적인 초점을 두고 가급적 단순한 구조의 구어를 사용하도록 연습하는 것을 장려해야한다는 점이다. 또한 가능한 언어의 듣기, 쓰기, 말하기, 읽기 네 기능이 모두 포함되도록 구성해야하며 학습자에게 정보적으로 친밀한 과제인가를 고려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구어 의사소통의 분명한 결과물을 낳을 수 있도록 설계해야한다는 점이 주요 적용 원리로 작용한다. 앞에서 논한 스테이션 교수와 함께 과제기반교수법을 도입하여 각 스테이션마다 해결해야하는 과제를 주고 그 과제를 한국어를 학습하는데 도움이 되고 학습의 흥미를 키울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어 이번 한국어 교육법을 연구하였다. 3. 한국어도 식후학(學) 이제 스테이션교수와 과제기반교수를 활용한 한국어교육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총 6개의 스테이션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스테이션은 언어의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영역을 고려하고 한국어능력시험의 평가 영역을 고려하여 내용을 선정하였다. 각 스테이션을 실시하는 방법은 스테이션 별로 추구하는 학습 효과에 따라 달리 구성하였으며, 스테이션 별 시행 방법 소개와 함께 예상되는 효과와 간단한 시연을 통해 소개하고자 한다. 교육 대상은 한국어능력시험 3,4급의 수준인 국내에서 수학중인 외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육내용의 중심 주제는 '음식'이며 학습내용과 함께 한국 문화에 대한 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4가지 스테이션에 전통놀이 영역 하나를 더하였다. 또한 마지막 스테이션인 '음식 만들기' 스테이션은 구어활동 후의 정확하고 구체적인 결과물이 있어야 한다는 '과제기반교수'의 중심원리와 스테이션 교수활동 후 남게 되는 강화물 교환권을 참고문헌 신현기 외, 『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박학사, 2005. 민현숙 외, 『한국어교육론1』, 한국문화사, 2005. 김중섭, 『한국어교육의 이해』, 하우, 2010. 김영만,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역락, 2005. 지현숙, 「한국어 구어 문법교육을 위한 과제 기반 교수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7. 키워드 한국어, 식후학, 한국어교육론, 교육론, 學 |
2017년 10월 29일 일요일
한국어교육론 한국어도 식후학(學)
한국어교육론 한국어도 식후학(學)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