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작품] 이상곡 분석.hwp |
목차 1. 서론 2. <이상곡>의 작가에 대한 기존 연구들 2-1. 작가가 과부라는 가설 2-2. 작가가 채홍철이라는 가설 3. 우리 조의 해석 4.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5. 결론 본문 문헌상 작가의 이름이 분명하게 전해오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상곡>을 민요 계열에 귀속시켜야 된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그 이유 하나만 가지고 <이상곡>을 민요로 볼 수 없다는 주장 또한 있다. 시어와 시의 진행 과정, 작품의 구조 등 모든 면에 걸쳐 살펴본다면 <이상곡>이 민요가 아니라 개인의 창작 서정 시가라고 주장 박노준, 「履霜曲과 倫理性의 問題」,『동아시아 문화연구』, 1988. 하기도 한다. 이렇게 <이상곡>은 시각에 따라 다양하게 작가를 추측해볼 수 있다. 2-1 작가가 남편을 잃은 과부라는 가설 민찬은 시적 화자를 남편을 잃고 과부가 된 여인으로 보았다. 그는 <이상곡>의 상황을 과부가 죽은 남편의 무덤을 찾아가서 독백을 하며 부르는 노래라고 주장했다. 그는 시적 화자는 과부이고 남편이 죽었는데 다른 남자가 또 나타나게 되는 상황을 가정했다. '내 님을 두고 다른 산길(년뫼)을 걷겠는가' 이 부분에서 '년뫼'를 내 님에 대응되는 존재로서 다른 사람, 다른 남자, 다른 임 등으로 해석했다. '년뫼를 걷겠다'는 말은 과부가 어떤 다른 사내를 보고 연모하는 마음이 일어난 것을 뜻한다고 주장한다. 민찬, 「이상곡의 시적 정황 및 독법의 논리」, 『인문학연구』, 2012. 참고문헌 민찬, 「이상곡의 시적 정황 및 독법의 논리」, 『인문학연구』, 2012. 박노준, 「履霜曲과 倫理性의 問題」, 『동아시아 문화연구』, 1988. 박한진, 「履霜曲 고찰」, 한양대학교, 1999. 엄국현, 「종교적 신성의 체험과 이상곡의 님」, 『한국문학논총』 제 28집, 2001. 이영태, 고려속요와 기녀, 경인문화사, 2004. 장효현, 「履霜曲의 生成에 관한 고찰」, 『국어국문학』 92, 1984. 키워드 이상곡, 작가, 가설, 서론, 주장, 문화 |
2018년 5월 31일 목요일
고전작품 이상곡 분석
고전작품 이상곡 분석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