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분석을 통한 현대문학사 교육연구-(신)2009 개정 지학사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hwp |
목차 Ⅰ. 서론 Ⅱ. 문학사 교육의 변화 1. 교육과정의 변화 2.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문학사 교육 Ⅲ. 지학사 교과서 구성 1. 목차 2. 구성 2.1. 대단원 도입부 2.2. 소단원 도입부 2.3. 작품 학습 2.4. 단원을 마치며 Ⅳ. 지학사 교과서의 문학사 기술 방식 분석 1. 교육과정 성취 기준과 교과서 학습 목표의 관련성 2. 단원의 시작과 마무리 2.1. 대단원 도입부 -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2.2. 소단원 설정과 도입부 - ' 3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 ' 4 근 현대 문학(1) - 일제 강점기 문학', ' 5 근 현대 문학(2) 광복 이후의 문학' 2.3. 단원 마무리 3. 작품선정 4. 학습활동 4.1. 학습활동의 구성 4.2. 학습활동의 목표와 기능 Ⅴ. 비판 및 제언 본문 I. 서론 문학사라는 것은 한 시대의 사회ㆍ문화적인 현상들과 요소들의 상호 작용을 통해 창작된 개별의 문학 작품들, 갈래들 간의 연속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여 설명해 내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문학사를 교육하는 것은 학습자들이 문학 작품을 각각의 개별 작품의 차원에서만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시대와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문학이 존재하여 왔다는 것을 이해하고 좀 더 넓고 통시적인 관점에서 문학 작품을 바라볼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이 문학작품에 대해서 더욱 체계적으로 문학 지식을 습득하고 이해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문학사 교육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문학사 교육의 목표는 '문학관의 정립을 통한 문학의 역동적 구조화, 삶의 총체성 이해, 민족문학의 이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때까지의 문학사 교육은 단순한 배경지식의 교육에만 치우쳐 연대별로 작가와 작품들을 분류하고 장르에 따른 지식을 무분별적으로 암기하는 식으로 이루어져 왔던 것이 사실이다. 현재의 교육은 학습자들에게 문학과 세계를 바라보는 올바른 관점과 사고에 대해서 교육하지는 못하고 있는 것이다. 문학사 교육의 변화를 위해서 교사들의 역할이나 실제적인 교수ㆍ학습 방법의 연구 또한 중요하지만 모든 교육 활동은 교과서를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교과서는 절대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은 교과서의 내용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기 쉽다는 점에서 교과서의 내용은 신중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문학 교과서의 문학사 기술 내용이 학습자들에게 적합한지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아야한다. 이를 위해서 본고는 앞으로 2014년부터 발행되어 사용될 예정인 '지학사 문학 교과서'가 문학사를 어떠한 방식으로 기술하고 있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먼저 지학사 교과서에서 문학사 교육이 포함된 목차를 파악하고 단원별 구성을 살펴볼 것이다. 분석할 단원은 본 강의의 특성상 근ㆍ현대 문학사를 다룬 단원만으로 한정한다. 그리고 그러한 교과서 구성이 가진 효과와 문제점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한다. 이후에 교육과정 성취 기준과 학습 목표 설정의 측면, 작품 선정의 측면, 학습활동의 구성 측면에 있어서 문학사를 교육하기에 적합한 기술 방법인가에 대하여 비판과 제언을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구인환 외, 『문학교육론』, 삼지원, 1989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교육과정【별책 5】』, 2012, 권영민 외, 『2009개정 문학교과서』, 지학사, 201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1』, 지식산업사, 2005 지학사, '문학' 연간 교수ㆍ학습 과정안 키워드 교과서, 지학사, 교과, 개정, 통한, 교육연구 |
2016년 5월 31일 화요일
교과서 분석을 통한 현대문학사 교육연구-(신)2009 개정 지학사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교과서 분석을 통한 현대문학사 교육연구-(신)2009 개정 지학사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