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5월 30일 월요일

애니메이션 성우의 음성 연기 교육

애니메이션 성우의 음성 연기 교육
애니메이션 성우의 음성 연기 교육.hwp


목차

1. 서론

2. 박영남 성우의 더빙 발화에 나타난 음운현상 분석
2.1. 애니메이션 더빙 발화에 나타난 캐릭터별 음운현상 비교
2.2. 애니메이션 더빙 발화와 일상 발화에 나타난 음운현상 비교
2.2.1. 애니메이션 더빙 발화와 일상 발화에 나타난 유사점
2.2.2. 애니메이션 더빙 발화와 일상 발화에 나타난 차이점

3. 오늘날 성우의 교육 과정과 문제점

4. 성우의 교육 과정에 대한 음운론적 제언

5. 결론

참고문헌




본문
1. 서론

애니메이션 더빙이란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캐릭터의 대사, 또는 해설을 자국의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는 애니메이션의 캐릭터에 영혼을 불어 넣어 생명력을 부여하는 과정으로, 한국의 경우 1967년 신동헌 감독이 한국 최초의 극장용 애니메이션 《홍길동》을 제작하면서 그 역사가 시작되었다. 현재에는 한국방송, 문화방송, 교육방송, 투니버스, 대교방송, 대원방송의 총 6개 방송사에서 성우를 모집하며, 이들 중 투니버스와 대교방송이 애니메이션 더빙 위주로 수습기간의 훈련을 진행하고 있다.
정확한 표준 발음의 구사가 성우에게 있어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기는 하나, 그렇다고 해서 이것이 모든 경우에 최우선 목표가 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애니메이션 더빙의 경우에는 매체의 특성상 캐릭터를 형상화하는 데에 필요한 성격이나 특징 표현이 성우의 목소리에 의존하는 정도가 다른 장르에 비해 훨씬 더 크다. 따라서 애니메이션을 더빙하는 데에 있어서 음운론적 특징을 조절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며 이 과정에서 성우는 의도적으로 비표준적 발음을 구사하기도 한다.
그러나 성우 교육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은 발성이나 호흡 등 음성적 측면에만 집중했을 뿐, 의도적인 비표준적 발음을 통한 캐릭터의 성격과 특징 구현에 대해서는 깊게 다루지 못한 바 있다. 실제 성우 교육의 양상 또한 크게 다르지 않아서, 음성적 교육이나 여타 배우들이 받는 것과 같은 연기 교육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는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애니메이션 더빙의 음운론적 특징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기존의 연구 결과뿐만 아니라 실제 현직에 종사 중인 경력 성우의 발화를 살펴보아야 한다. 박영남 성우는 1966년 KBS 8기 공채 성우로 데뷔한 이후 현재까지 육십 명이 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연기했으며, 이들 중 대다수가 소년 배역인 것으로 유명하다. 이 수많은 캐릭터를 성우 한 명이 차별화하여 연기하는 것은 단순히 음색만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는 불가능하며, 여기에는 필연적으로 음운현상의 의도적인 조절이 개입하게 된다. 특히 대중에게 잘 알려진 《날아라 슈퍼보드》의 손오공, 《아기공룡 둘리》의 둘리, 《짱구는 못말려》의 짱구, 《개구리 왕눈이》의 왕눈이는 모두 소년 캐릭터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기 다른 성격이 그에 맞는 독특한 음운현상을 통해 작품 내에서 구현된다.


참고문헌

〈대한민국의 성우〉, 《위키백과》, 2013.3.22, 〈http://ko.wikipedia.org/wiki/%EB%8C%80
%ED%95%9C%EB%AF%BC%EA%B5%AD%EC%9D%98_%EC%84%B1%EC%9A%B0〉.

김혜주, 〈성우를 위한 화술 훈련 방법에 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문선희, 〈직업적 음성사용자를 위한 목소리 훈련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2.

배한성 외, 《성우》,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안소연, 《안소연의 성우되는 법》, 룩스북, 2003.

임영화, 〈성우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유사언어 활용에 관한 연구 : 라디오드라마 연기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3.



키워드
연기, 교육, 성우, 애니메이션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