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5월 31일 화요일

황진이, 홍랑, 이매창의 시조 연구

황진이, 홍랑, 이매창의 시조 연구
황진이, 홍랑, 이매창의 시조 연구.hwp


목차
1. 서론
1.1 연구목적
1.2 연구내용

2. 본론
2.1 시조의 명칭과 개념
2.2 시조의 특징
2.2.1 형태상 특징
2.2.2 내용상 특징
2.3 시조의 표현방식과 성조
2.4 기녀작가들의 작품 분석
2.4.1 황진이의 시조
2.4.2 이매창의 시조
2.4.3 홍랑의 시조

3. 현대장르와의 연계 대중매체를 중심으로
3.1 고전문학의 수용성
3.2 대중매체와의 결합
3.3 시조와 라디오매체의 적용

4. 결론



본문
1. 서론

1.1 연구목적

시조는 우리나라 고유의 정형시이다. 시조는 한문 문화가 모든 문화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던 시기에 우리말로 쓰여 민족의 주체성을 살렸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고 양반과 평민, 신분에 관계없이 모두가 짓고 부른 노래라는 것이 특징적이다. 오랫동안 내려오면서 시조는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그 중에서도 우리가 알아보고자 하는 시조는 기녀 작가들의 시조 3수이다. 황진이, 홍랑, 이매창으로 나타나는 여류 작가 각각이 '사랑'과 '그리움'의 정서를 어떻게 표현하였는지 알고, 이 세 시조를 현대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탐구하고자 한다.

1.2 연구내용

기녀작가들의 시조를 알아보기에 앞서, 시조의 명칭과 개념을 정리하고 시조의 형태상 내용상 특징을 알아본다. 또한, 시조의 표현방식과 성조에 대해 알아보고 황진이와 홍랑, 이매창의 시조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세 기녀 작가들의 시조에서 드러난 그녀들의 사랑과 그리움의 정서를 알아보고 세 기녀작가들의 삶을 중심으로 대본을 구성하여 현대 대중매체인 라디오를 이용해 더 쉽게 알아보고자 한다.



2. 본론

2.1 시조의 명칭과 개념

시조는 우리 시가 문학사에서 가장 오랜 생명력을 지니면서 가장 풍성한 유산을 남겨준 문학이다. 시조는 시절가조(時節歌調) 즉, 당대의 유행가조라는 말이 줄여서 만들어진 말이다. 엄격히 말해 '시조'라는 명칭은 문학 장르의 명칭이라기보다는 음악 곡조의 명칭인 것이다. 이러한 시절가조는 근대에 들어오면서 다른 문학 창가, 신체시, 자유시, 산문시 등과 구분할 필요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3장 35자 내외의 특정한 형태를 가진 이 시형을 '시조'라는 이름을 붙여 부르게 된 것이다. '시조'라고 불리기 이전에는 쓰였던 명칭을 살펴보면, 단가, 시여, 신조, 신번, 장단가 등이 있다. 단가(短歌)는 짧은 형태의 시가로 말하고, 시여(詩餘)는 시의 한 체, 신조(新調)는 새로운 곡조를 말한다. 신번(新飜), 장단가(長短歌), 이와 같이 많은 사람들에 의해 오랫동안 글로 지어지고 노래로 불린 시조는 문학상으로는 '시조시형'이란 개념으로 알려져 있고 음악상으로는 '시조창'으로 불려왔다고 전해진다.


키워드
시조, 이매창, 이매창의, 연구, 창의, 이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