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5월 26일 목요일

국제정치 세력전이이론 (Power Transition Theory)

국제정치 세력전이이론 (Power Transition Theory)
[국제정치] 세력전이이론 (Power Transition Theory).pptx


목차
1.세력전이?? - 기본적 전제
2.세력전이이론의 대두
3.A.F.K. Organski의 세력전이이론
4.세력균형 vs 세력전이
5.세력전이의 과정
6.세력전이이론의 전개
7.지배국의 대응방안
8.세력전이이론의 발전
9.동아시아 사례에의 적용

본문
세력전이이론의 대두

- 배경 : 국력의 변화(산업화시대)와 국가들간의 분쟁 가능성에 대한 설명력 부족

- 한계 : 기존 이론의 비논리성

'세력균형' 개념의 모호성



A.F.K. Organski의 세력전이이론

힘의 3요소 : 부와 산업능력, 인구, 정부조직의 효율성

변수 : 국력증대속도의 차이(산업화)
도전국의 현재질서에 대한 불만족도


국력성장과정 : 잠재적 국력->세력전이->성숙

위계체제 : 지배국-강대국-중진국-약소국-식민지
만족국가(강대국)-불만족국가(도전국)


김우상의 동맹전이 모델(aliance transitions model) : 동맹변수의 접목
국력증대가 산업화를 통하여 내적으로만 이루어진다 는 것을 비판
국가는 동맹관계와 같은 외적 수단을 통해서도 국력증대를 도모


더글러스 렘키의 다중위계체제 모델(multiple hierarchy model): 지역체제에의 적용

- 국제적 위계체제와 유사한 하위체제인 지역적 위계체제가 존재
- 국력과 투사력과의 관계 : 거리의 중요성
- 강대국은 지역체제에 지속적 개입X ->
지역적 위계체제는 국제적 위계체제와
유사하게 작동, 지역체제 내에서
세력전이전쟁이 발생



참고문헌

*단행본

김우상 외. 1997. 『국제관계론강의1』. 한울.
김우상. 2007. 『신한국책략II』. 나남.
백창재. 2009. 『미국패권연구』. 인간사랑.
우철구 외. 2004. 『현대국제관계이론과 한국』. 사회평론.
유현석. 2009. 『국제정세의 이해』. 한울.
이상구. 2011. 『국제정치학논점특강』. 인해.
이상우. 2006. 『국제관계이론』. 박영사.
*논문

강택구. 2008. "동아시아 지역 내 강대국간 경쟁과 세력전이 : 21세기 중국의 대일정책". 『국제정치논총』제 48집 2호.
김우상. 2002. "세력전이와 동아시아 안보질서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정치학회보』제35집 4호.
이상훈. 2007. "정치체제와 강대국 전쟁 세력전이이론의 불만족도 변수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이장원, 홍우택. 2008. "중국의 문화적 팽창주의". 『국제정치논총』 제48집 2호.
이장원. 2011. "동아시아의 미 중 갈등과 한 중관계: 세력전이론적 시각에서". 『중소연구』제35권 2호.



키워드
국제정치, 세력전이이론, 국제, 세력, 이론, 정치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