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푸드의 국내외 사례와 활성화 방안.hwp |
목차 1.서론 1)우리나라 농촌 문제 2)연구방법 및 한계 2.로컬 푸드 1)정의 및 의의 2)해외 사례-일본, 미국, 이탈리아 3)국내 사례 3.결론 1)로컬 푸드 향후 전망 2)우리나라 농촌 문제에 대한 제언 4.참고문헌 본문 1.서론 1)우리나라 농촌 문제 오늘날은 지구화(globalization) 사회이다. 지구화란 19세기 말에 자본의 국제적 이동을 배경으로 등장한 것으로, 한국에서는 문민정부 시절 '세계화'라는 용어로 해석되어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는 1979년 영국의 대처 수상, 1980년 미국의 레이건 대통령에 의해 추진된 신자유주의를 통해 급물살을 타게 됨으로써 현대 사회를 관통하는 핵심 키워드로써 작용하고 있다. 사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일각에서는 '세계적이다'는 말은 오로지 긍정적인 것, 때문에 우리 삶의 지향점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있었다. 아니 어쩌면 현재에도 그런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존재할 수 있다. 세계에서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가치, 혹은 세계를 선도하는 역할을 하는 계층이 좋다고 생각하는 가치에 맞춰가는 것이 세계적 트렌드에 뒤처지지 않는 것이라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 모둠은 이번 학기에 짧게나마 '지방화와 사회변동' 수업을 들음으로써 지구화가 가지는 부정적인 측면에 대해 알게 되었다. 앞서 설명한 세계적 가치가 세계인 모두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지 않는다는 점, 예컨대 사회 곳곳에 기업의 논리가 적용됨으로써 우리 사회가 빈익빈부익부(貧益貧富益富)의 양극화가 굉장히 심한 사회가 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 여기서 양극화 사회란 단순히 경제적으로 상층과 하층의 대립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나라는 지역적으로도 양극화되어있다. 다시 말해 현재 우리는 도시와 농촌이 이분화 되어있는 사회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불과 우리 아버지 세대에만 해도 우리나라의 대부분은 농촌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는 '농촌 위기'의 사회를 맞이하고 있다. 심지어 현재 농촌 인구는 전체 인구의 약 15% 정도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지만 그들을 위한 제대로 된 정책조차 존재하지 않아 인구는 날로 감소하는 추세이고, 그 인구 구성도 고령화되어 있다. 김철규 김태현 김흥주 외 2명(2012), <새로운 농촌사회학>, 집문당 때문에 농촌에 젊은 층,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농촌을 지속 가능성을 짊어질 후속 세대가 없어, 이제 우리는 농촌이 점차적으로 더욱 설 곳을 잃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무시할 수 없는 처지에 이르렀다. 이는 현대 사회가 굉장히 위험한 상태임을 시사한다. 농촌은 주로 농업을 하는 곳에 사는 사람들의 사회적 공간이다. 그리고 농업은 곧 우리가 생존하는 데에 직결되는 먹을거리를 담당하는 산업이다. 즉 농촌의 위기는 농업의 위기를, 농업의 위기는 국가의 위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식량 안보라는 말이 존재하듯 식량이 무기가 되는 사회에서 식량을 담당하는 곳의 안전 여부는 국가의 생존 문제와도 긴밀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 모둠은 이번 연구를 통해 지켜내야 할 필요와 당위가 충분한 농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우리 삶의 가장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음식'을 통해 농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키워드 농촌, 우리, 로컬, 푸드, 문제, 사회 |
2018년 5월 25일 금요일
로컬푸드의 국내외 사례와 활성화 방안
로컬푸드의 국내외 사례와 활성화 방안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