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마을의 주거환경 개선 및 공동체 만들기 사업 사례 연구.hwp |
목차 Ⅰ. 서 론 1. 장수마을 선정이유 2. 장수마을 지역특성 1) 공간적 특성 2) 사회 경제적 특성 3) 사회적 약자 상황 3. 장수마을 인적자원 1) 인구 및 새대 2) 경제적 상황 4. 장수마을 물적자원 1) 공공시설 현황 및 접근방식 2) 지원체계 마련 3) 주민협의회 구성 및 활동 4) 민간단체와의 연계 및 협력 5) 공적 자원의 활용 6) 비공식적 지역사회 조직 7) 공식기관 5. 지역사회 문제 및 욕구사정 1) 지역사회 문제 2) 장수마을 주민들의 욕구 Ⅱ. 본 론 1. 문제 및 욕구해결 위해 현재 시행되는 마을 만들기 분석 1) 초점 및 목표 2) 동원세력 3) 재정 4) 법적 기반 체계 5) 핵심 프로그램 6) 성과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Ⅴ. 별 첨 (마을만들기 관련 기사 및 사진) 본문 I. 서 론 1. 장수마을 선정이유 흔히 젊은이들의 거리로 알려져 있는 혜화에 위치한 대학로에는 예술을 사랑하는 대학생들과 시민들이 모여 여러 가지 문화를 창조하고 있는 곳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학로를 가면 항상 많은 사람들로 북적거리는 곳으로만 기억하곤 하는데, 그곳에서 조금만 벗어나면 한적한 공원과 크고 작은 여러 개의 마을이 자리 잡고 있다. 혜화역과 동대문역 사이, 낙산공원 밑에 위치한 마을인 이화마을은 'Art in City 2006' 이라는 큰 이름 아래 공공미술추진위원회 에서 소외된 지역의 시각적 환경을 개선하고자 낙산프로젝트 를 주관하여, 70여명의 작가가 참가하여 동네 곳곳에 그림을 그리고, 조형물을 설치했다. 가파른 계단에는 꽃 그림이 피었고, 낙산공원 산책로에는 멋진 조각들이 늘어섰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작가들은 단순히 지역의 시각적 환경 개선만 한 게 아니라 동네 역사와 주민의 기억을 수집하고 정리해 작품으로 만들었다. 하늘과 맞닿아 있다고 해서 하늘동네 라고도 불리는 이 작은 마을에 아름다운 벽화들이 하나 둘 그려지고 조형물이 세워지기 시작했다. 모두의 마음을 담은 작업이었기에 벽화는 동네의 상징이 되었고, 이화동은 서울에서 가장 아름다운 동네, 가장 가보고 싶은 마을로 손꼽히게 되었다. 그러나 그 바로 위, 낙산공원 위쪽에 위치한 장수마을은 이화마을처럼 벽화로 유명하여 입소문을 탄 사람들이 많이 찾아가는 곳이긴 하나, 이화마을과는 다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성곽과 삼선공원 사이의 경사지에 자리한 장수마을은 전쟁 후에 서울로 모여든 가난한 사람들이 움막이나 판잣집을 지으면서 형성되었다. 급한 경사에 저마다 다른 지형조건 속에서 길을 내고 축대를 세워 터를 만들고 집을 지어 처음에는 허술했던 집들이 60~70년대를 거치며 양성화되어 지금과 같은 모습이 되었다고 한다. 장수마을은 이화마을보다 더 좁고 가파른 골목을 가지고 있었고, 이화마을처럼 낙산프로젝트에 의해 그려진 벽화와는 달리 재개발의 대안사업 중 하나로 그려지게 되었다, 그래서 벽화마을로 유명하긴 하지만 재개발을 하지 않고도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여 마을이 잘 정비된 대안개발사업의 성공 케이스로 더 유명한 마을이다. 그래서 우리는 프로젝트로 작가들이 그려 완성한 이화벽화마을보다는 주민들이 참여한 사업에서 주민들이 직접 그린 벽화마을에 더 관심이 생겼고 좀 더 깊이 알아보고자 한다. 키워드 장수마을, 마을, 장수, 특성, 사례, 지역 |
2018년 5월 24일 목요일
장수마을의 주거환경 개선 및 공동체 만들기 사업 사례 연구
장수마을의 주거환경 개선 및 공동체 만들기 사업 사례 연구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