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분석] 공동 작업 상황이 내현적 자기애 성향자들의 업무능력능력에 미치는 영향.hwp |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가설 Ⅳ. 연구대상 및 방법 Ⅴ. 결과 Ⅵ. 결론 및 논의 Ⅶ. 참고 문헌 본문 Ⅰ. 서론 최근 20~30대 사회초년생들의 직장 조기 퇴사 및 이직이 늘어나고 있으며, 직장에서의 관련 상담 요청 사례도 점차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직장인들의 조기 퇴사 및 이직은 경력 단절이나 조직/사회 부적응 등의 문제를 낳을 수 있으며, 사원 교육이나 업무 진행 및 성과에 있어서도 차질을 빚거나 비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에 관해 성격적 요인이 연구되고 있고, 경제 발전과 달라진 문화에 따른 자기애의 향상이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한국경제, 2010). 자기애(自己愛)는 말 그대로 자신을 사랑한다는 뜻인데, 자기 자신의 행위나 특질에 부당하게 큰 가치를 부여하는 성격으로 나타난다. (네이버 교육학용어사전) 사람들은 누구나 그 정도가 높든 낮든 어느 정도 자기애 성향을 지니고 있지만, 그 정도가 문화적 흐름에 따라 더 강해지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슬기, 2011) 때문에 사회적으로는 자기애 성향이 높은 사람들이 점점 더 많아질 것이고, 개인적으로는 누구든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자기애 성향이 높은 사람을 좋든 만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렇기에 높은 자기애 성향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참고문헌 기초자료- 김현애, 정종훈 (2010/09/02 16:59). ""부장은 나만 미워해" 엄친아 사회초년생 '미성숙 우울증' 늘어", 한국경제,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90224121 논저- 강은정, 장성숙 (2007). 자기애와 내현적 대인반응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913-932. 권은미 (2006).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 공포증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남재 (1995). 대인불안의 측정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4(1), 73-81. 양돈규 (2001). 지각된 사회적지지, 낙관성 및 해슬간의 상관성. 청소년학 연구, 8(1), 1-23. 연지혜 (2010). 사회적 지원이 일-가정갈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성민, 신희천 (2007).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967-982. 윤혜미 (1991). 사회복지전문요원의 직무만족, 이직의도, Burnout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18. 이슬기 (2011). 사회초년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직무만족도와 조직 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인숙 (2002). 대학생의 자기애 성향과 대인불안 및 방어성 간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준득, 서수균, 이훈진 (2007).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자기개념 명료성과 부정적 정서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2), 463-477. 정남운 (2001). 과민성 자기애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1), 193-216. 한혜림 (2003). 자기애가 사회 불안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 경향성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허현정 (2004). 완벽주의 성향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열등의식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Akhtar, S., & Thomson, J. A. (1982). Overview: Narcissitic personality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9, 12-20. Barych-Feldman, C., Brondolo, E., Ben-Dayan, D., & Schwartz, J. (2002). SOurces of Social Support and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Productivit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7(1), 84-93. Dickinson, K. A., & Pincus, A. (2003). Interpersonal analysis of grandiose and vulenrable narcissism. Jounal of Personality Disorders, 17, 188-207 Fraley, R. C., & Shaver, P. R. (2000). Adult romantic attachment: Theoretical developments, emerging controversies, and unanswered question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4, 132-154. Haines, V. A., Hurlbert, J. S. & Zimmer, C. (1991). Occupational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 hypothesis. Work and Occupations, 18, 212-235. Kessler, R. C., Price, R.H. & Wortman, C. B. (1985). Social Factors in Psychology: stress, Social Support, and Coping Proces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36, 531-572. Kohut, H. (1977). The restoration of the self.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397-422. Raskin, R. N., & Novacek, J. (1989). An MMPI description of the narcisstic personalit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3, 66-80. Schlenker, B. S., & Learly, M. R. (1982). Social anxiety and self-presentation: A conceptualization and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92, 641-669. Schurman, C., l., (2000). Social Phobia and covert narcissism. Unpublished doctoral disserration, Wright Institute Graduate School of Psychology. Smolewska, K., & Dion, K. (2005). Narcissism and adult attachment: A multivariate approach. Self and identity, 4, 59-68. Wink, P. (1991). Two faces of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4), 590-597. 키워드 공동, 조사분석, 내현적, 성향자, 자기애, 분석 |
2017년 12월 23일 토요일
조사분석 공동 작업 상황이 내현적 자기애 성향자들의 업무능력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사분석 공동 작업 상황이 내현적 자기애 성향자들의 업무능력능력에 미치는 영향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