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월 26일 일요일

상징상징과 도교상징과 건국신화상징과 향가상징과 문학상징과 돈키호테이스라엘양상징과 도교, 상징과 건국신화, 상징과 향가, 상징과 문학, 상징과 돈키호테, 상징과 이스라엘, 상징과 양 분석

상징상징과 도교상징과 건국신화상징과 향가상징과 문학상징과 돈키호테이스라엘양상징과 도교, 상징과 건국신화, 상징과 향가, 상징과 문학, 상징과 돈키호테, 상징과 이스라엘, 상징과 양 분석
상징과 도교, 상징과 건국신화, 상징과 향가,.hwp


목차
Ⅰ. 상징과 도교

Ⅱ. 상징과 건국신화
1. 상징체계
2. 문화체계

Ⅲ. 상징과 향가
1. 달의 이미지
1) 찬기파랑가의 달
2) 처용가에 나타난 달
2. 식물의 이미지
1) 나무
2) 꽃
3. 물의 이미지
1) 보현십원가의 물
2) <찬기파랑가>의 물

Ⅳ. 상징과 문학

Ⅴ. 상징과 돈키호테

Ⅵ. 상징과 이스라엘

Ⅶ. 상징과 양
1. 양의 비유적 의미와 사회적 상징
2. 양의 수호신적 기능

참고문헌

본문
Ⅰ. 상징과 도교

도교사상사에서 도교수련의 원리나 단계와 관련시켜 일원상의 상징이 사용된 것은 「주역참동계」가 출현한 이후이다. 청대의 모기령에 의하면 원래 「주역참동계」에는 <수화광곽도>, <삼오지정도>등이 첨가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가 말한 <수화광곽도>는 중앙에 일원상을 배치하고 일원상의 주위에 감괘와 리괘를 원형으로 늘여 합한 것이다. 감괘나 리괘는 인체내의 수화이기를 상징하므로 일원상은 음양이기의 바탕이 되는 일기를 상징한다. 한편 <삼오지정도>는 금목수화토의 오행이 하나로 귀일함을 상징하는 그림으로서 일원상은 오행이 합일됨을 상징한다. 모기령의 말이 사실이라면 원상징은 이미「주역참동계」가 성립될 당시에 제시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주역」의 태극과 「도덕경」의 무극을 연결시키며 태극과 무극을 도교의 핵심개념으로 본격적으로 부각시킨 것은 당말의 진단이다. 태극이 「주역」에서 우주의 근본적 존재로 간주된 것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주역」외에 「장자」에서도 태극이란 표현이 보이나 장자의 경우는 중요한 철학적 개념으로 사용된 것이 아니라 공간적으로 가장 끝이라는 의미에 지나지 않는다.




≪ 중 략 ≫




Ⅱ. 상징과 건국신화

1. 상징체계

서사구조는 단지 서사문학의 형식을 뜻하는 말은 아니다. 구조적 이해가 적중할 수 있는 범위는 매우 넓고 다양하다. 그 중에 하나는 작품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다. 앞에서 서사구조를 그리면서 얻었던 양식을 이제 체계로 수렴해 내는 일이 필요하다. 대립적 층위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서 앞에서 天神과 地母神, 그리고 男神과 女神의 구조를 설정했다.

참고문헌
김낙필, 도교의 원상징과 무극 태극, 한국원불교학회, 1996
김진석, 문학교육과 상징, 서원대학교, 2001
박미정, 향가의 기원성에 대한 유형적 고찰, 대구대학교, 2009
서철원, 건국신화의 여신 형상과 그 문화사적 의미, 한민족문화학회, 2010
여한구, 이스라엘 예언자들의 상징행위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2000
전혜찬, 삐에르 메나르 돈키호테의 저자와 세 가지 상징주의 시학 원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1999

키워드
상징, 도교, 건국신화, 향가, 문학, 돈키호테, 이스라엘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