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월 26일 일요일

산수산수와 산수문학산수와 산수풍광산수와 산수화산수와 진경산수산수문학산수풍광산수화진경산수산수와 산수문학, 산수와 산수풍광, 산수와 산수화, 산수와 진경산수 분석(산수문학, 산수풍광)

산수산수와 산수문학산수와 산수풍광산수와 산수화산수와 진경산수산수문학산수풍광산수화진경산수산수와 산수문학, 산수와 산수풍광, 산수와 산수화, 산수와 진경산수 분석(산수문학, 산수풍광)
산수와 산수문학, 산수와 산수풍광, 산수와 산수화, 산수와 진경산수 분석.hwp


목차
Ⅰ. 개요

Ⅱ. 산수와 산수문학
1. 연대 분류
2. 형식 분류

Ⅲ. 산수와 산수풍광

Ⅳ. 산수와 산수화

Ⅴ. 산수와 진경산수

참고문헌

본문
Ⅰ. 개요

인간은 자연과 대립 관계에 있는데, 이 관계를 주도하는 것은 인간이다. 실천적 생활에 있어서 인간은 자연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관계하고, 자연은 인간에 대하여 수동적으로 관계한다. 그러나 인간과 자연의 관계는 진정 이렇기만 할 것인가? 인간이 자연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관계한다는 것은 자연에 대한 인간의 존재학적 우위인가? 그러나 여기서 유한한 목적론적 입장(endlich-teleologischer Standpukt)은 일면적 관계만을 말해 준다. 사태 전체로 볼 때, 즉 존재상으로 볼 때 인간에게 자연은 전제되어 있다(존재상 앞선다). 자연이 오히려 존재학적 우위를 점한다. 자연은 인간이 존재한다는 사실에서 독립하여 존재하고, 또한 거기에 무관심하다. 자연의 본질 규정을 위하여 인간이 필수 불가결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인간은 자연을 토대로 해서만 존재할 수 있는 의존적 존재이다. 그런데도 헤겔은 245절(Enzy.)에서 왜 인간을 사태의 주체라 하는가? 헤겔이 여기서 취하는 관점은 존재학적 관점이 아닌 현상적 관점이기 때문이다(현상적 관점에 대한 비판을 의도로). 현상적 관점에서 인간은 자연을 지배하고 압박한다. 이러한 관점에서―자연은 인간에 의해서 임의로 변경되고 파괴된다―자연은 인간에 대하여 수동적이라고 말하게 된다. 그러나 다른 편으로 "인간은 실천적으로 자연에 관계한다"는 헤겔의 명제는 인간이 필연적으로 자연과 관계해야만 한다는 인간학적 사실을 말해 준다. 즉 자연이 인간의 본질에 속해 있다면 인간이란 본래 자연적 존재인 셈이다. 자연적 존재로서의 인간은 "실천적"으로만 자연에 관계한다.(인간은 육체를 가지며, 이로써 자연처럼 공간적 외면적이다)

참고문헌
김창원, 산수화와 산수시조에서 자아와 세계의 갈등구도와 그 형상화 방식, 한국시조학회, 2010
김대원, 고려시대 산수화의 동향과 유가적 심미관,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1
손오규, 산수문학에서의 산수와 산수미, 경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998
손오규, 산수문학에서의 인물기흥, 반교어문학회, 2000
최동국, 시조에 나타난 산수자연의 원망과 그 미적 성격, 한국시조학회, 2009
한경혜, 조선후기 진경산수의 재현의 문제 : 겸재 진경산수의 수묵적 특성 분석, 홍익대학교, 2005

키워드
산수, 산수문학, 산수풍광, 산수화, 진경산수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