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월 26일 일요일

사회기술훈련사회기술훈련 요소사회기술훈련 효과집단사회사업현장체험학습사회기술훈련의 요소, 사회기술훈련의 효과, 사회기술훈련의 기법, 사회기술훈련과 집단사회사업, 사회기술훈련과 현장체험학습

사회기술훈련사회기술훈련 요소사회기술훈련 효과집단사회사업현장체험학습사회기술훈련의 요소, 사회기술훈련의 효과, 사회기술훈련의 기법, 사회기술훈련과 집단사회사업, 사회기술훈련과 현장체험학습
사회기술훈련의 요소, 사회기술훈련의 효과, 사회기술훈련의 기법, 사회기술훈련과 집단사회사업,.hwp


목차
Ⅰ. 서론

Ⅱ. 사회기술훈련의 요소

Ⅲ. 사회기술훈련의 효과

Ⅳ. 사회기술훈련의 기법

Ⅴ. 사회기술훈련과 집단사회사업

Ⅵ. 사회기술훈련과 현장체험학습
1. 현장 체험활동 계획
2. 사전활동
3. 현장 체험활동 집단 편성 방법
4. 현장 체험활동 전개
5. 사후활동 방법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사회 기술(Social skills)에 대해 설명하기 이전에 사회적 유능성(social competence)이 무엇인지 먼저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사회적 유능성이란 어떤 사회적 과제나 긍정적인 발달을 성취하기 위해인지, 정서, 행동을 통합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사회적 유능성은 문화나 지역, 상황에 따라 그 실질적인 의미가 달라지는 기술, 태도, 능력, 감정으로 구성된다(Elias, 1997). 따라서 사회적으로 유능하다는 것은 다양한 환경과 장면에 적합한 기술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사회적으로 적합한 기술의 개념이 사회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즉 사회 기술은 사회적 유능성을 구성하는 하위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Gresham(1988)은 사회 기술을 사회적 유능성을 구성하는 하위 요인으로 보았으며, 사회 기술을 '사회적 타당성(social validity)'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 중 략 ≫




Ⅱ. 사회기술훈련의 요소

Kelly(1982)는 아동들의 사회적 기술 훈련에 필요한 요소로서, (1) 인사하기(greetings), (2) 사회적 행동 주도하기(social initiation), (3) 질문하고 대답하기(asking and answering questions), (4) 칭찬하기(praise), (5) 가까이 접근하기(proximity and orientation), (6) 함께 참여하고 놀기(task participationor playing), (7), 협동하기 혹은 나누기(cooperationor sharing behavior), (8) 정감적반응(affective responsivieness) 등을 들고 있다.

참고문헌
◇ 김경애(1997), 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기술훈련의 실제, 숭실대학교
◇ 김재옥(2005),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부산대학교
◇ 류주미(2006),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 증진을 위한 사회기술훈련의 효과, 가톨릭대학교
◇ 문영옥(2004), 사회성 기술 훈련이 정신지체 학생의 사회 적응 능력에 미치는 효과, 나사렛대학교
◇ 송진희(2004), 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기술훈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광주대학교
◇ 정영희(2007), 놀이중심의 사회기술훈련을 적용한 선택적 함구 아동의 상담사례, 진주교육대학교

키워드
사회기술훈련, 기법, 집단사회사업, 현장체험학습, 사회기술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