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상징물, 도교의 상징물, 기독교의 상징물, 예불의식의 상징물, 학급의 상징물 분석.hwp |
목차 Ⅰ. 불교의 상징물 1. 법륜(法輪) 2. 연꽃 1) 처렴상정이다 2) 화과동시이기 때문이다 3) 연꽃의 봉오리는 마치 우리 불교신도가 합장하고 서 있는 모습이기 때문이다 3. 금강저 4. 만자(卍字) 5. 일원상(一圓相) 6. 염주 Ⅱ. 도교의 상징물 Ⅲ. 기독교의 상징물 1. 성서 2. 교회 3. 예배 4. 교회력 5. 십자가 6. 예수 Ⅳ. 예불의식의 상징물 1. 괘불의 용도 2. 괘불의 역사 Ⅴ. 학급의 상징물 1. 급훈 1)6학년 아람반 친구들의 다짐 2)예쁜 어린이의 다짐 3)나는 해 낼 거야 4)우리 이렇게 해요 5)즐거운 교실 2. 반가 참고문헌 본문 Ⅰ. 불교의 상징물 1. 법륜(法輪) 부처님의 교법으로 일체 중생의 번뇌를 씻는 것을 법의 수레바퀴로 표현했다. 초기 불교의 교단에서는 부처님의 설법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으나 중국에서는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분류하는 교상판석에 많이 붙여 사용하였다. 대표적인 주창자로는 축도생. 길장. 진체. 현장 등이 있다. 축도생은 부처님의 일대교설을 선정법륜.방편법륜.진실법륜.무여법륜의 4법륜으로 분류하였고 길장은 근본법륜. 지말법륜. 섭말귀본법륜의 3법륜으로 진제는 전법륜. 조법륜. 지법륜의 3법륜으로 현장은 사제법륜. 무상법륜. 요의법륜의 셋으로 분류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이와 같은 법륜설을 널리 채택한 고승은 신라 원효스님이다. 원효는 그의 저서인 <열반종요> <법화경종요> 등에서 이를 상세하게 설명했다. 길장의 3종 법륜에 대하여 원효는 근본법륜이란 부처님이 처음 성도하여 화엄회상에서 보살들을 위하여 일인일과의 법문을 말한 것이고, 지말법륜은 복이 엷고 조기가 둔한 무리들이 그 깊은 일인일과의 법문을 알아듣지 못하기 때문에 일승을 삼승으로 나누어 설한 것이라 했다. 섭말귀본법륜은 부처님이 40년 동안 삼승의 법문을 설하여 그들의 근기를 향상시킨 뒤에 다시 삼승을 일승으로 돌아가게 하기 위하여 설한 <법화경>등의 가르침이라 했다. 또 진제의 3법륜에 대해서는 유상법륜. 무상법륜. 무상무상법륜으로 바꾸어서 해설하였다. 유상법륜은 오직 성문승을 지향하는 사람을 위한 것으로서 사제를 근본으로 하여 법륜을 즐기는 교법이며 <아함경>이 이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 강대준(1983), 급훈실천의 생활화를 위한 학급경영, 서울특별시교육청 ▷ 김경미(2007), 기독교상징을 통한 교회활용 방안, 한일장신대학교 ▷ 백종걸(1993), 불교사물에 관한 연구 : 예불의식에 쓰이는 불교사물의 연주법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 박혜정(2011), 기독교 상징교육에 대한 연구 : 중세교회를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 윤규돈(2000), 불교의 상징을 응용한 목재잔 개발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 차태호(2011), 전통문화의 상징성을 통한 디자인 개발 - 도교의 텍스트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정보디자인학회 키워드 불교, 상징물, 도교, 기독교, 예불의식 |
2017년 2월 27일 월요일
상징물불교 상징물도교 상징물기독교 상징물예불의식 상징물학급 상징물불교도교기독교예불의식불교의 상징물, 도교의 상징물, 기독교의 상징물, 예불의식의 상징물, 학급의 상징물 분석
상징물불교 상징물도교 상징물기독교 상징물예불의식 상징물학급 상징물불교도교기독교예불의식불교의 상징물, 도교의 상징물, 기독교의 상징물, 예불의식의 상징물, 학급의 상징물 분석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