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정책의 개념, 배당정책의 이론, 배당정책의 결정요인, 향후 배당정책의 방향 분석.hwp |
목차 Ⅰ. 개요 Ⅱ. 배당정책의 개념 Ⅲ. 배당정책의 이론 1. MM의 모형 2. 현재소득의 선호이론 3. 배당과 세제이론 4. Modigliani & Miller 의 고객이론 5. 배당의 정보전달효과에 대한 이론 6. 대리인이론에 입각한 배당이론 Ⅳ. 배당정책의 결정요인 1. 배당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당기순이익 2) 유동성 3) 미래의 투자기회 4) 부채비용 5) 주주의 구성과 특성 6) 자금조달능력 7) 수익의 안정 여부 8) 법률상의 제약조건 2. 배당과 관련된 국내의 규제원칙과 규정 1) 자본잠식금지의 원칙으로서 배당금은 어떠한 경우에도 자본금을 잠식해서는 안된다는 원칙이다 2) 이익이 없으면 배당을 할 수 없다는 이익원칙이다 3) 지급불능의 원칙이 있다 Ⅴ. 향후 배당정책의 방향 참고문헌 본문 Ⅰ. 개요 Paul Marsh는 영국에서의 신주발행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신주발행의 발표에 따른 영국 증권시장의 준강형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그는 또한 일반적으로 믿고 있는바 신주발행에 의한 주식의 추가적인 공급이 주가를 떨어뜨리는가에 관해서도 실증적인 연구를 하였다. 신주발행시 주식이 권리부(rights on)에서 권리락(ex rights)으로 변하면 주가는 일반적으로 하락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주가의 하락은 신주인수권(rights)의 가치에 의하여 보상된다. 실질적으로 주주의 부를 감소시키는 그와 같은 가격의 하락만을 의미하고자 한다. 그의 연구결과, 영국의 증권시장은 신주발행 정보공시와 관련하여 매우 효율적이며 신주발행이 주가를 압박하는 결정적인 증거는 없다고 결론지었다. 권리부에서 권리락으로 변한 일주일동안 0.9%의 주가하락이 있었으나 신주발행사의 주가의 비정상적인 움직임과 발행규모 사이에는 식별할만한 아무런 관계도 발견하지 못했다. ≪ 중 략 ≫ Ⅱ. 배당정책의 개념 배당정책(dividend policy)이란 기업의 이익을 주주에 대한 배당금과 재투자를 위한 유보이익으로 나누는 의사결정을 말한다. 재무관리의 목표는 기업가치의 극대화이므로 기업가치를 극대화하는 배당정책이 최적 배당정책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배당이 많고 적음에 따라 기업가치 또는 주가가 달라질 것인가, 달라진다면 기업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배당수준은 얼마인가 하는 것이 배당정책의 주요 논점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권광현 외 1명(2011), 기업지배구조, 배당정책 및 이익조정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회계학회 ○ 김진우 외 1명(2011), 주식유동성이 배당정책에 미치는 효과, 한국금융공학회 ○ 신민식 외 1명(2007), 소유집중도와 배당정책간의 관계 분석, 대한경영학회 ○ 신민식 외 1명(2008), 중소기업의 소유집중도가 배당정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제학회 ○ 손승태 외 1명(2006), 기관투자자지분율과 배당정책의 관련성, 대한경영학회 ○ 황성수 외 1명(2010), 배당정책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키워드 배당정책, 배당, 기업, 재무, 자본, 배당정책의 개념, 배당정책의 이론, 배당정책의 결정요인 |
2017년 2월 1일 수요일
배당정책배당정책 개념배당정책 이론배당정책 결정요인배당정책 방향배당정책의 개념, 배당정책의 이론, 배당정책의 결정요인, 향후 배당정책의 방향 분석(배당정책, 배당정책 결정요인, 배당정책 방향)
배당정책배당정책 개념배당정책 이론배당정책 결정요인배당정책 방향배당정책의 개념, 배당정책의 이론, 배당정책의 결정요인, 향후 배당정책의 방향 분석(배당정책, 배당정책 결정요인, 배당정책 방향)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