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구조사] 욕구의 파악.hwp |
본문 욕구조사 욕구의 파악 욕구조사를 하는 이유는 특정 집단이나 지역주민의 욕구가 무엇인가를 파악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기존의 서비스를 보완하는 데 있다. 따라서 우선 어떻게 욕구를 식별해 내느냐 하는 문제가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욕구는 현재 상태와 달성되어야 하는 상태의 차이, 또는 현재 존재하는 것과 존재해야 하는 상태의 차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달성되어야 하는 상태 또는 존재해야 하는 상태가 무엇� ��가에 따라 욕구가 달라질 수 있다. 욕구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준에 의해 파악하는 방법이 있다. 첫째, 이상적인 것 또는 최고의 수준을 달성되어야 하는 수준으로 정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욕구는 이상적인 상태와 현재 상태와의 차이에 의해 파악된다. 따라서 욕구가 많게 파악될 수 있고 또 욕구의 크기가 심각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많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주택을 가지고 있더라도 이상적인 수준의 주택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면 그 사람은 주택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다 할 수 있다. 둘째, 최소의 수준을 기대수준으로 정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욕구가 적게 파악되고 심각성도 적을 것이다. 즉, 앞의 예에서 주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그 주택이 최소한의 요건만 갖추고 있으면 주택의 욕구가 없다 할 수 있다. 셋째, 비교적 � ��준을 기대수준으로 정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주택의 경우 다른 사람의 주택, 다른 지역의 주택, 또는 우리 사회 전체의 평균 주택수준과 비교하여 그 욕구를 파악하는 것이다. 또 남녀 간의 시간급 비율 같은 것도 여자들의 임금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는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이상적인 것, 최소한의 것의 파악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교적 수준을 어느 것으로 하느냐에 따라 욕구가 달라질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브레드쇼(Bradshow, 1972 : 640-643)는 욕구판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네 가지 인식기준을 제시했다. 첫 번째 인식기준은 규범이며, 이 기준에 의해 파악된 욕구를 규범적 욕구(normative need)라 한다. 인식의 기준인 규범은 전문가들에 의해 정해지는 경우가 많다. 전문가들은 그들의 경험� � 지식으로 어떤 수준이 충족되어야 한다는 규범을 설정한다. 이 규범과 현재의 상태와의 차이에 의해 욕구가 파악되며, 현재의 상태를 규범적 상태로 끌어올리기 위해서 필요한 서비스가 제시될 수 있다. 규범적 욕구는 전문가의 의견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이에 근거하여 서비스를 개발하는 경우 엘리트 위주의 서비스가 되어 표적집단이 사용할 수 없는 프로그램이 될 수도 있다. 두 번째 인식기준은 체감이며, 이 기준에 의해 파악된 욕구를 체감적 욕구(felt need)라 한다. 이 경우는 그 그룹의 성원들의 느점이 욕구파악의 기준이 된다. 체감적 욕구는 표적집단들이 누구보다도 자신들의 문제를 잘 파악하고 있다는 데 근거하고 있다. 이는 또한 서비스를 위한 욕구가 표적집단에 의해 체감되지 않았다면 쓸모가 없거나 비현실적인 � ��이 되기 쉽다는 것이다. 이 방법은 표적집단이 어떤 욕구상태에 있는지, 또는 어떤 서비스를 원하는지 직접 물어 보아서 욕구의 상태나 서비스를 파악할 수도 있고, 지역사회 공개토론회를 통해 체감적 욕구에 관한 자료를 얻을 수도 있다. 하고 싶은 말 중요내용을 요점/정리한 A+과제물입니다. |
2020년 8월 4일 화요일
욕구조사 욕구의 파악
욕구조사 욕구의 파악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